메뉴

항저우 애니메이션 산업 규모 약 328억 위안

'328억 위안'

약 한화 6조2569억 원 가량이다. 항저우 애니메이션 산업 규모다.

중국의 한 도시의 애니메이션 산업 규모가 10조원을 육박하는 것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웹튠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15억 인구가 남녀노소를 떠나 모두 만화 보기를 즐기니, 사실 성장하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하다.

영화에 이어 온라인 만화 역시 중국이 세계 최대 시장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항저우는 이 같은 중국의 애니메이션 시장을 개척하는 선두 도시다.

최근 저장(浙江)성 항저우시 애니메이션산업센터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21년 항저우시 애니메이션 게임산업 발전은 코로나 속의 하향세를 보인 다른 산업들과 달리, 압도적인 상승세를 실현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항저우시 애니메이션 게임산업 총생산액은 328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9% 증가했다.

디지털 경제 선점을 살려 항저우 애니메이션 게임 업체들은 5G, 클라우드, AI 등 디지털 신기술 통합 적용을 심도 있게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속에 온라인 웹튠과 애니메이션 게임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난 덕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또 현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한몫을 했다고 현지 언론은 덧붙였다. 보도에 따르면 저장 디지털 문화 국제협력구에는 국제 애니메이션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 플랫폼, AI 퍼포먼스 디지털 애니메이션 플랫폼 등을 조성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결과 디지털 문화무역 기능구역이 자연스럽게 형성됐다. 

항저우의 애니메이션은 붉은색 애니메이션을 앞세워 붉은색 단편영화 '《沁园春·长沙》심원춘·창사', 애니메이션집 '《下姜村的绿水青山梦》하강촌의 푸른물 청산몽' 등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