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올림픽 러시아 선수들 도핑 파문, 中네티즌 "누군가의 음모야"

"도핑 논란에 휩싸인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16)의 약물 검사에서 기존 금지 약물 외에 두 가지 약물이 더 검출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조선일보의 최근 소식이다.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 발리예바가 논란이다. 

김연아 이후 가장 주목받은 선수로 연신 세계 기록을 세워 신기록 제조기라는 별명까지 가진 그녀가 이번 올림픽을 앞두고 약물 복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녀의 경기에 전 세계 매체들은 침묵으로 대응했다. 무언의 항의다. 간단히 "그녀는 경기를 치를 자격이 없다. 이런 일이 되풀이 되서는 다른 선수들의 올림픽 정신을 무너뜨리게 된다"는 것이었다.

물론 약물만으로 지금의 발리예바가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사실 러시아 피켜스케이팅계의 부정한 행동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소치에서는 한국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을 훔쳐가기도 했다. 이번 사건에는 어린 그녀가 이런 논란에 휩쓸리는 것 자체가 발리예바에게도 불행한 일이라고 지적도 나온다.

맞는 말이다. 세계적 성적에 목을 맨 러시아 아이스피겨스케이팅 관계자들이 문제다. 이미 발리예바가 처음도 아니다.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을 훔쳐간 선수는 지금은 그 이름도 기억되지 않고 있다.

그녀 역시 그 막강한 소련을 대표해 출전할 정도의 실력을 갖춘 선수였다. 하지만 그 노력에 조금 더의 성과를 위해 약물을 하고, 편파 판정을 유도하면서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이번 발리예바의 일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다른 모습을 보였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지만 좀 심하다 싶을 정도다. 한 네티즌은 "미국이 먹으면 치료제고 러시아가 먹으면 금지약물"이라고까지 지적했다. 아쉽지만 미국은 치료제로 먹지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 먹지는 않는다. 성적을 위해 먹고 걸리면 지금처럼 소송을 해서까지 버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미국인이 먹는 것은 치료제고, 러시아인이 먹는 것은 금지약물이야.

 

도핑 검사 기관이 일부 국가 정치의 모함 도구로 전락할 판이야.

 

이 약은 속도와 체력을 증강시키는 것인데, 빙상 피겨 스케이팅에서 이 약을 부정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어?

 

바로 누군가가 음모를 꾸미고 있는 거야.

 

결국, 말할 권리를 누가 쥐고 있느냐가 정말 중요해!

 

유럽과 미국은 이미 신용을 잃었어.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