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진당랑(金螳螂), 4년 연속 중국 100대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 1위

'갈수록 커지는 중국 인테리어 산업의 1위는?' 

금 사마귀? 

 

'예'(禮)를 숭상하는 게 동양, 중국의 미덕이다.

본래 예란 꾸밈이다. 수양을 통한 꾸밈의 내재화다. 태어나길 속되게 태어나, 수양을 통해 자신을 가다듬어 진정한 자신의 모습으로 죽어가 '진인'(眞人)이 되는 게 동양의 예다.

예는 본신 수양을 위한 인간적 노력이다.

다시 말해 꾸밈이다. 꾸밈 속에 자신을, 스스로를 그려가는 게 바로 동양의 예다.

예를 그렇게 본래 위선의 씨앗인 셈이다. 

어떤 집을 꾸며 살아가느냐는 것은 바로 이런 점에서 동양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냥 보기 좋은 게 아니라, 자신의 삶을 가꾸는 하나의 수양인 것이다.

중국의 인테리어는 이런 점에서 좀 과장도 심하다. 본래 자신의 내면은 가꾸기 힘들어도 외면은 돈만 있으면 가꿀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운 좋게 돈만 번 이들이 과장된 인테리어를 좋아한다.

전통적으로 중국은 이 같은 갈등구조를 보여왔다. 본래 귀한 것은 초가라도 귀한 것이고, 본래 천한 것은 금기둥이어도 천한 것인데, 그런 심미안을 가진다는 어찌 쉬울까?

최근 중국의 경제 규모가 커질수록 인테리어의 중요성이 커진다. 고아함을 추구하지만 본래 스스로가 그런 심미안이 없는 이들은 업자에게 막대한 돈을 주고 그런 고아함을 치장으로 꾸민다. 

최근 베이징 싼리툰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제4회 'TOP 100 GIANTS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 100대 차트' 시상식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전국에서 우수한 디자인 엘리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함께 성대하게 행사를 진행했다.

金螳螂设计 디자인은 견조한 성장세와 실적으로 4년 연속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업체 1위에 올랐다.

또 공간별 순위도 호텔·주거·건강노후전문공간 1위, 사무·상업소매전문공간의 2위를 차지했다.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 랭킹은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산업의 생태계와 발전에 집중하여 중국의 우수한 디자인 기업의 실력을 보여준다. 업계의 엄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중국의 유명 실내디자인 기업이 자신의 실력과 시장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시장참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4년 연속 Top 100 Giants 중국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 100대 랭킹 1위를 차지한 것은 金螳螂设计 디자인의 전문 기능과 업계에 대한 공헌을 인정해 준 것이며, 끊임없이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이다.

금당랑은 금 사마귀란 뜻이다.

잘못하면 당랑, 사마귀가 장랑, 바퀴벌레가 된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