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정부가 후원하는 NFT 지원 서비스 개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정부가 후원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BSN)’가 3월 정식 론칭을 앞두고 일부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6일 보도했다.

중국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는 반대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빠르게 현실화하는 데 적극적이다. 

BSN은 중국 국영기업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이온페이와 관영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가 후원하며 글로벌 시장과 분리된 독자적인 대체불가토큰(NFT - Non Fungible Token)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BSN-DDC'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어떤 가상화폐와도 연계되지 않는 NFT 인프라를 구축해 개인이나 기업이 NFT를 발행·유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의 인식값을 부여, 영상·그림·음악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만들 수 있어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는 모든 종류의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BSN은 지정된 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개방되고 허가받은 블록체인'(OPB - open permissioned blockchains)을 활용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허가받은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결제는 가상화폐가 아닌, 위안화 등 법정화폐로만 할 수 있다.

BSN의 기술지원을 맡은 레드데이트테크놀로지의 허이판 CEO는 현재 NFT가 대부분 예술작품 인증에 사용되고 있지만 가장 큰 시장은 차량 번호판 등의 허가 관리 사업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NFT를 통해 차량 소유주와 정부, 보험사가 마일리지, 엔진번호, 정비 이력 등의 데이터에 접근해 공동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BSN은 서비스 부분 개시를 알리면서 “가상화폐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NFT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게 다양하고 투명하며, 신뢰할만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