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슬로베니아의 대만대표처 설립 추진에 대해 중국 네티즌 "조그만 게..."

"동유럽 국가 슬로베니아가 대만과 상호 무역대표처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등 외신이 1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최근 유럽연합(EU) 회원국 리투아니아가 대만 대사관 명칭으로 ‘타이베이(대만 수도)’ 대신 ‘대만대표처’를 사용해 중국과 정면으로 충돌한 가운데, 중국의 주요 경제 파트너였던 슬로베니아도 친(親)대만 행보에 나서는 등 중·동유럽 국가들의 탈(脫)중국 행보에 속도가 붙고 있다."

비즈조선이 전한 최근 중국 소식이다. 리투아니아에 이어 슬로베니아까지 동유럽 국가들의 탈중국 행보가 눈에 띈다.

중국의 일대일로가 불러온 부작용이다. 중국 당국은 부인하지만 역사 속에서도 중국 상인들의 폭거는 곳곳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황제의 이름을 팔아 욕은 황제에게 돌리고 이익은 자신들이 가로챘다. 

중국 황실은 '한 눈 뜨고 한 눈 감는다'는 식으로 이들 상인의 폭주를 방치했다. 

한국은 물론 중국 주변의 각국마다 중국 상인을 욕하는 일화는 꼭 하나씩 있다. 한국에서도 '왕서방'하면 무지한 동양의 스쿠르찌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을 펼치면서 중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했다.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새로운 교역망이 만들어 진 것이다. 

문제는 그 공급망 생태계의 주도권을 중국, 중국 상인들이 쥐면서 중국과 함께 사업을 펼쳤던 각국에는 이로 인한 각종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유럽과 미국의 중국 견제가 작용하면서 일대일로에는 미묘한 갈등구조가 자리잡게 됐다. 중국은 미국이 빈 틈을 타 중동 외교를 강화하는 데 반해 유럽과 미국은 동유럽에 대한 영향력을 키우면서 동유럽이 중국과 조금이 틈을 벌리고 있는 것이다. 

말 그대로 합종연횡이다. 합종이 옳을지, 연횡이 옳을지 조만간 가름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중국 네티즌들은 "작은 나라들이 혐오스럽게 만든다"는 반응이다. 그럼에도 최근 상황에 대한 우려가 담겨져 있다.

 

 

대만을 해방시키는 것에, 발등에 불 떨어졌네.

 

그럼 외교적으로 강등되는 거지.

 

보아하니 리투아니아가 아직 이 자식들을 정신 차리게 하지 못했나 봐.

 

대만을 좀 일찍 거두어들이자, 그러면 외교부 대변인의 업무량도 좀 적어질 거야.

 

작은 나라가 뛰어오르면 중국은 혐오감이 들어.

 

조그마한 나라도 와서 나쁜 짓을 하다니, 정말 놀라워!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