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과 라오스 잇는 장거리 철도 개통

 

중국이 철도 실크로드 길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중앙아시아-유럽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범아시아 철도를 연결하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으로 가는 철도망과 아시아 철도망과 중국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중국이 아시와 유럽의 물류 중심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철도 노선은 윈난(雲南)성,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연결하는 범아시아 철도망과 기존 일대일로 철도선의 연결이다. 

첫 성과로 중국과 라오스를 잇는 장거리 철도가 개통한다. 

중국 매체 환구시보는 2016년 착공돼 총 60억 달러(약 7조 원)이 투입된 중국-라오스 철도가 3일 개통한다고 보도했다.

중국-라오스 철도는 윈난성 성도 쿤밍(昆明)과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까지 1035㎞를 연결한다. 시속 160㎞ 기준으로 쿤밍에서 비엔티안까지 10시간가량 소요되며, 승객을 위한 10개 역과 물류 수송을 위한 22개 정거장이 운영된다.

세계은행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라오스 철도 개통으로 운송비가 30∼50% 절감되고, 2030년 중국-라오스 교역량이 370만t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3일 개통식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통룬 시술릿 라오스 국가주석이 화상으로 참석한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라오스 철도가 라오스의 물류 중심국 전환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산업 공급망 안정을 통해 지역 발전에 공헌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