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과 라오스 잇는 장거리 철도 개통

 

중국이 철도 실크로드 길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중앙아시아-유럽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범아시아 철도를 연결하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으로 가는 철도망과 아시아 철도망과 중국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중국이 아시와 유럽의 물류 중심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철도 노선은 윈난(雲南)성, 라오스,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연결하는 범아시아 철도망과 기존 일대일로 철도선의 연결이다. 

첫 성과로 중국과 라오스를 잇는 장거리 철도가 개통한다. 

중국 매체 환구시보는 2016년 착공돼 총 60억 달러(약 7조 원)이 투입된 중국-라오스 철도가 3일 개통한다고 보도했다.

중국-라오스 철도는 윈난성 성도 쿤밍(昆明)과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까지 1035㎞를 연결한다. 시속 160㎞ 기준으로 쿤밍에서 비엔티안까지 10시간가량 소요되며, 승객을 위한 10개 역과 물류 수송을 위한 22개 정거장이 운영된다.

세계은행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중국-라오스 철도 개통으로 운송비가 30∼50% 절감되고, 2030년 중국-라오스 교역량이 370만t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3일 개통식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통룬 시술릿 라오스 국가주석이 화상으로 참석한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라오스 철도가 라오스의 물류 중심국 전환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산업 공급망 안정을 통해 지역 발전에 공헌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