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아시아 500대 브랜드에 중국 166개 차지해 1위

일본 2위, 한국은 3위

브랜드는 기업의 가치다.

좋은 브랜드를 지닌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이긴다. 지금까지 이 브랜드 가치 시장에서는 대부분의 서구 기업들이 주류를 이뤄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아시아 기업들의 브랜드들도 급상승을 하는 추세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정기적으로 글로벌 브랜드들의 가치를 측정해 발표하고 있다.

최근 아시아 부분을 정리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1년 아시아 500대 브랜드에는 총 19개국의 브랜드들이 이름이 올렸다. ,

중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212개 브랜드로 전체 아시아 브랜드 500대 브랜드 중 42.4%를 차지해 1위를 차지했으며, 이 중 중국 본토의 브랜드는 166개였다.

일본은 134개, 한국은 50개 브랜드로 2,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이 아무리 삼성, LG 등 대기업 덕에 경제 순위를 높이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적인 기반에서는 취약한 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중국은 48개 업종을 망라해 금융·미디어·식음료 모두 40개가 넘는 브랜드가 이름을 올렸고, 통신전자는 23개로 6위를 차지해 2020년 통신 전자 브랜드 수와 일치했다.

상위 5위 중 일본이 4석을 차지하고 중국의 화웨이가 일본의 엡손, 일본전기회사, 캐논, 후지쯔를 제치고 업계 1위에 올랐다.

중국 브랜드들이 매년 조금씩 상위로 자리 이동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브랜드 수뿐 아니라 단독 브랜드 파워에서도 중국 기업들이 약진하고 있는 것이다. 

처음 언급했듯 브랜드는 제품 파워다. 브랜드는 사실 거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술력, 디자인, 오랜 소비자 경험 등이 모두 쌓여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당장 한국의 삼성만해도 처음부터 오늘의 명성을 누린 게 아니다.

지난 1980년만해도 삼성의 모든 브랜드는 일본 기업들에 눌려 2류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금 중국 브랜드들이 그렇듯 삼성도 수많은 이들의 '삼성은 안돼'하는 편견과 싸워 이겨내고 오늘의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중국은 지금 삼성과 같은 기업이 166개가 있는 셈이다.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한국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