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시성 폭우로 고대 중국 유적지 1700여 곳 피해

 

중국의 고도 산시(陝西)성이 심각한 수재를 당했다.

산시성은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오랫동안 중국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중국 최초의 통일국가 진나라의 수도 시안(西安)이 현재 산시성 성도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과거 실크로드의 출발지로 5천년 역사를 간직한 산시성의 유적지들이 기록적인 폭우에 큰 손실을 입었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산시성을 강타한 폭우로 최소 1763곳의 유적지가 파괴되거나 훼손됐다. SCMP가 보도한 산시성 문화재 당국 자료를 보면 붕괴 등 치명적인 훼손 상태가 89곳, 벽에 금이 가거나 상대적으로 심각한 상태가 750곳이었다. 이번 폭우로 피해를 입은 건물을 모두 합하면 총 1만9000동에 달했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핑야오(平遙) 고성은 성벽 51곳, 성내 가옥 300여 채가 훼손되는 등 피해가 컸다. SCMP에 따르면 중국 문화재 당국은 폭우가 멈추자마자 곧바로 전문가 그룹을 산시성으로 급파해 문화재 복구 지원에 나섰다.

산시성은 이번 이례적인 가을 홍수로 15명이 숨지고 176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경제적 손실만 50억3000만 위안(약 93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