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한푸(汉服) 브랜드 순위 Top 4...장속복원이 1위

 

"한국에 한복이 있으면 중국에는 한복(汉服)이 있다."

중국이 한류 바람을 이용해 발음이 비슷한 한복을 알리는 데 적극 나서고 있다. 한나라 시대 복장인 한복은 사실 당대 아시아 전역의 의복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한나라의 문화는 그렇게 아시아 전역에 영향을 끼쳤다.

한나라는 고조선을 멸하고 한사군을 설치한 나라다. 즉 한복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사실 신라시대, 고려시대의 복장까지도 한나라 복장인 한복의 흔적이 남아 있다.

조선에 들어와 완전히 자주적인 한복이 등장한다.

조선 양반의 복장은 고려시대와도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조선은 혁명으로 세워진 나라인 만큼 문화 제도에도 기존의 틀을 벗어나는 자주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만 조선의 정권을 잡은 사대부 세력이 자신들의 사상적 뿌리는 중국과 다른 자체적인 것에서 찾지 못하고 공자와 맹자를 형이상학적으로 해석하는 데 주력한 주자학에서 찾으면서 조선은 혁명성 자체를 상실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대의 나라, 조선이 그렇게 나왔다. 

그러나 예로부터 노래 부르고 춤추기를 즐겼던 고조선의 문화적 DNA는 지금도 남아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한류는 한민족만의 고유한 정서적 표현의 흐름 양식이다. 말 그대로 결이 다른, 한민족 고유의 것이다.

중국의 한푸는 이런 점에서 분명 조선의 한복과는 차이가 크다. 

다만 한복의 아름다움이 관심을 끌면서 중국 한푸 역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 어떤 한푸들이 중국인들의 관심을 끌까?

 

1위 장속복원 装束复原

중국 국내에서 '신(神)과 같은 존재'로 불리는 중국의 전통 패션 팀이다. 한벌 한벌 모두 팀원들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원료는 물론 공예장식, 입는 법, 매칭, 의례 등은 옛 원형을 따른다.

 

2위 명화당 明华堂

명화당은 2007년 광저우에서 창립되어 한족 복식문화의 전문적인 연구와 복원에 힘쓰고 있다. 현재 한푸 전문 연구, 복식 수공 제작, 원단 연구 개발과 복원 등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3위 중회한당 重回汉唐

청두 과학기술 유한공사에 소속되어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창립한 이래로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4위 한상화련 汉尚华莲

2008년 8월 창립된 광둥(廣東)성 최대의 한푸 생산 상가로 한족의 전통복식, 전통문화 확산에 힘쓰고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