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9·11테러 20주년 추모식에 중 네티즌 "누가 묵념하나"

20년 전 비행기 한 대가 갑자기 항로를 바꿔 미국 뉴욕의 세계무역센터를 덮쳤다. 건물 중간쯤을 그대로 들이받은 비행기는 그 자리에서 불길에 휩싸였고, 건물이 먼지를 뿜어내며 무너지기 시작했다. 

참혹했던 지난 2001년 미국 9·11 테러의 시작 장면이다.

당시 비행기의 충돌 장면은 방송을 통해 그대로 세계로 전파됐다. 미국은 슬퍼했고 분노했다. 세계인은 놀랐다. 테러라는 게 이렇게 무서운 것이구나. 

미국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에 있던 오사마 빈 라덴을 흉수로 지목했다. 당시 부시 대통령은 탈레반에게 빈 라덴을 인도하고 알카에다를 축출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했던 탈레반은 거부를 했고 2001년 10월 7일 미국은 영국과 함께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다. '항구자유작전'을 개시했다는 게 미국식 표현이다.

바로 미국 역사상 가장 긴 전쟁의 시작이었다. 이 전쟁은 20년이 지나 미군의 철수로 끝을 맺는다. 탈레반 입장에서는 긴 고난 끝의 얻어낸 승리다.

과연 누가 승자이고 패자인지는 정말 훗날 역사가 평가할 일이다. 당대에서는 친미 진영의 평가와 반미 진영의 평가가 극과 극으로 다르다. 현재 중국은 반미 진영의 거두다.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은 이 같은 중국 입장을 보여준다.

 

피살된 아프간과 이라크 민간인들을 위해서는, 누가 묵념하나.

 

여기저기서 사람을 죽이고 불을 지르는 무리에서, 고개를 숙이고 죽을 민간인을 위해 애도하는 것이 우스꽝스러워.

 

미국인들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리비아 등의 무고한 사람들을 위해 묵념한 적이 있어?

 

또 세계의 동정을 사려고 하는 거야? 미국은 이 세상을 동정해본 적이 있어?

 

묵념이 무슨 소용이야,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않고 평화의 길을 간다면서, 패권주의를 한다면 앞으로도 그 갚음을 받을 일은 남아있을 거야.

 

미국 정치인들이 추모하는 날,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 등 민간인들의 사망은 어떻게 생각 안 할 수가 있어?

 

"죽은 아프간 사람들을 생각하라"는 게 주된 주장이다. 그런데 지금의 탈레반은 정말 제대로 된 정권인가? 총을 든 집단이 온 민중을 착취해 사는 세계 최빈국이 아닌가? 세계를 테러로 위협해 득을 얻는 도적이 아닌가? 정말 평가는 더 두고 볼 일이다.

아프간 전쟁의 모습들                                                                              출처=인터넷 캡처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