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4살 천재 칭화대 박사 과정 시작하자 중 네티즌 "소설 주인공"

 

'4개 시험'

중국에서는 박사까지 가는 과정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고등학교 입학 시험, 대학 입학 시험, 석사 과정의 연구생 입학 시험, 그리고 박사 입학 시험이 그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 이 4개 시험을 모두 뛰어넘고 바로 박사과정에서 들어간 14살짜리 소년이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청다줘(程大拙)다.

청다줘는 올해 선전시 푸뎬구의 학교를 졸업하고 칭화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입학했다.

과정은 박사과정이다. 청다줘는 이 과정에 입학하면서 고등학교, 대학교, 석사, 박사 입학 과정을 모두 건너뛴 것이다.

청다줘는 수학과 물리학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연히 한번도 1등을 놓쳐본 일이 없다고 한다. 수학 교과과정을 을 독학으로 뗐다. 독학 후 중국 전국 수학 평가 시험에서 3등을 차지했다.

하나하나가 대단한 소년이다. 

중국은 이런 천재를 키운다. 우리는 기존에 있던 영재 양성 프로그램마저 없애는 처지다. 

경쟁이 혹독할수록 예리한 능력을 가진 인재가 만들어진다. 

만고의 진리다. 과연 1년 뒤 한국과 중국의 경쟁력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벌써 그림이 그려진다. 한국은 다른 자원은 없고 유일하게 인재가 자원인 나라다. 그런 나라가 인재 양성에서 자원 부국인 중국에 뒤진다면 중국과 어떤 경쟁도 할 수 없다.

그 옛날 왕정시대 처럼 중국에 복속돼 부속국으로 전락해 살아가야만 한다. 정권이 이 같은 사실에 눈을 뜨기만 바랄 뿐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어찌 생각할까? 부러워 한다. 중국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소설 속 남자 주인공의 성장 과정이야.

 

14살 아이가 41살보다 더 통달했어.

 

그렇게 많은 시험을 다 건너뛰다니, 아이들의 인생이 완전하지는 않네.

 

사람과 사람 간의 차이가 왜 이리 크게 나는지.

 

자고로 영웅은 소년에서 나온다.

 

조국을 위해 공헌하기를 기대할게.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