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 중국 정부 네트워크 투명성 지수 순위

저장성 1위.

중국에서 지방 정부 네트워크 투명성을 평가한 결과다.

저장(浙江)대 공공정책연구원, 저장(浙江)성 공공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2021년 중국 정부의 네트워크 투명성 지수 평가 보고서(이하 보고)'를 3일 중국 인터넷 항저우(杭州)에서 발표했다.

음 여기까지 말하고 나니, 좀 투명성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들린다.

저장성에서 발표를 했는데, 저장성이 1등이라니. 다른 사람들이 그 조사의 투명성에 대해 의구심 부터 생길 수 있겠다 싶다.

어쨌든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2위는 광둥성이다.

저장과 광둥은 경제가 발달한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푸룽링(傅榮校) 저장(浙江)대 공공관리학원 교수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총 11차례 평가를 거치면서 정보공개(오픈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대한 각 지역 정부의 진보가 크게 확인됐다"며 "특히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지역은 투명성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1위 : 浙江省 (저장성)

2위 : 广东省 (광동성)

3위 : 江苏省 (장쑤성)

4위 : 山东省 (산동성)

5위 : 海南省 (하이난성)

6위 : 福建省 (푸젠성)

7위 : 贵州省 (구이저우성)

8위 : 北京市 (베이징시)

9위 : 四川省 (쓰촨성)

10위 : 上海 (상하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