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의약품 매출 순위, 광둥성 1위로 2000억 위안 돌파

 

'2조4148억 9100만 위안'

대략 433조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중국은 바이오 굴기에도 성공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는 수치다. 

중국 상위 30위 이상의 바이오 기업 매출액이다.

최근 중국 매체들은 지난 2020년 중국 전역의 의약품 지역 매출 총액을 근거로 '2020년 의약품 지역 매출 TOP31'을 선정했다.

이들 기업의 매출액을 합산하니, 연 매출이 2조4148억 9100만 위안에 달했다.

품목별로는 양약류가 매출 7대 의약품 매출의 71.5%를 차지했으며 이어 한약재류 2.3% 등이 있다.

한해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각 성별 바이오 기업의 매출은 안정적 상승세를 구현했다.

지난 2020년 전국 6대 권역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화동 36.1%, 중남 27.0%, 화북 15.2%, 서남 13.3%, 동북 4.4%, 서북 4.0% 등이었다.

이 중 화동 중남 화북 3개 권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8.3%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 전국 9개 성·시가 연매출 1000억 위안을 넘었다.

특히 광동은 2000억 위안을 넘는 매출로 전국을 선도했다. 베이징의 연간 매출도 다른 각 성·시를 크게 앞서 2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바이오 기업 매출의 성급 행정지역별 순위다.

 

1위: 광동
2위: 베이징
3위: 상하이
4위: 강소성
5위: 절강성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