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에서 화제가 된 스타트업 대표 Top 5

중국이 어느새 스타트업의 천국이 되고 있다.

우수한 인재들이 속속 창업을 해 유니콘 양성의 꿈을 키우고 있다. 이미 적지 않은 성공사례가 나온 상황이다.

물론 이 같은 상황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만큼 큰 시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물론 황당한 규제가 나올 수 있는 엉뚱한 정부를 가지고 있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차지 최고 산업으로 일컫는 IT 콘텐츠 분야 산업에서는 중국 시장의 크기를 따라갈 곳은 한동안 나오기 힘들어 보인다.

무엇보다 인구가 많다. 14억 인구다. 하루 1위안의 소비만 이뤄지도록 해도 14억 위안이다.

이런 중국의 스타트업계에서도 빛나는 별들이 있다.

최근까지 중국에서 화제가 되는 5명의 스타트업 창업주들을 정리했다.

 

 

1. 펑쥔(冯军)

1992년 칭화대 토목공학과를 졸업한 冯军은 국영기업 해외파견 대신 중관춘(中關村)에서 어렵게 창업했다. 1997년 10대 음악플레이어 브랜드 중 하나인 爱国者 브랜드를 창업하였고, 현재 화치(華旗)컨설팅그룹 회장을 맡고 있다. 2006년에는 'CCTV 중국경제 올해의 인물 올해의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2. 류세춘(刘世春)

베이징시 시청구 인민대표대회 대표는 전국노동모델로 베이징시 5대 뛰어난 청년대표이자 베이징 54메달 등을 수상해 현재 금융가(베이징) 투자유한공사 회장을 맡고 있다.

 

3. 황창푸(黄昌富)

중국 철건16국그룹 베이징궤도교통공사 부사장으로 베이징과학기술대 토목공학과 겸임교수이자 박사과정 멘토다.2010년 '전국 모범노동자'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받은 뒤 베이징 5대 뛰어난 청년대표로 선정됐다.

 

4. 류린(刘林)

교육학 박사인 刘林은 베이징도시학원 당서기·총장 출신으로 2004년 전국 우수 교육자로 선정됐고, 2020년 중국민립교육협회장에 선출돼 차세대 '장수'로 교육사업에 기여했다.

 

5. 황루치(黄璐琦)

1992년부터 중국 중의과학원에서 근무해 온 黄璐琦는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여성 10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屠呦呦와 수년간 함께 일해 왔고, 국가중의약관리국 당조에서 중국 중의과학원장에 임명됐다. 2020년에는 '전국 코로나19 대응 선진 개인' 상을 받았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