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우주정거장의 우주인들은 자기 오줌을 마신다?...증류수로 바꿔 재활용

"중국 우주정거장, 약 3주간 승무원 소변 66ℓ 재활용"

 

중국 우주인들이 자기 소변을 먹는 이유는?

우주에서 장기간 생활에 가장 절실한 문제는 식수 해결이다. 중국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변에서 증류수를 채취하는 방식을 택해 해결을 시도하고 있어 주목된다.

7일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톈궁(天宮) 우주정거장 핵심모듈인 톈허(天和)에 도착한 녜하이성(聶海勝) 등 승무원 3명이 소변 재활용을 통해 생활 식수를 만들고 있다.

이들은 앞서 지난달 17일 선저우(神舟) 12호에 탑승, 톈궁 정거장에 도착했다.

이들 승무원 3명이 약 3주간 66ℓ의 소변을 재활용하며 우주공간 장기체류 가능성을 시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당국은 이를 위해 앞서 톈허 모듈 내 생명 유지 시스템의 일부인 소변 처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소변을 증류수로 바꾸고, 이를 통해 식수나 청소는 물론이고 산소 발생 등에도 쓰도록 하는 것이다.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한 번에 소변 6ℓ에서 증류수 5ℓ를 얻을 수 있다.

시스템은 시간당 최대 2.5ℓ의 증류수를 만들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앞서 지상 실험을 통해 시스템이 만든 증류수 수질은 중국의 식용수 기준 및 우주비행사 관련 기준에 부합한다는 판단을 받았다. 

중국 당국의 이번 실험이 성공하는 향후 우주인의 생활식수 문제 해결에 큰 진전을 이루는 것으로 평가된다. 우주공간에서 인류가 장기 체류하려면 식수와 산소가 필수 요건이다. 

이번 소변 처리시스템은 중국우주과학공업집단공사(CASIC) 제2연구원 206연구소가 고안한 것이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소변 시스템을 공학적으로 적용한 것은 이번 중국이 최초다.

중국이 개발한 시스템 운용이 성공한다면 식수를 우주로 배달하는 막대한 경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우주선을 이용한 화물 운송 비용은 1kg당 14만~35만 위안(약 2천455만~6천138만원)가량이 든다. 개발사 측은 "재활용 시스템을 이용하면 승무원 3명이 6개월 체류시 1억 위안(약 175억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17일 서북부 간쑤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선저우 12호를 발사했고, 승무원들은 같은 날 핵심모듈 도킹 및 진입에 성공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