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민간인공위성 발사업체 CEO '3천만원대 우주관광' 전망

 

세계 부호들의 우주여행 상품화 경쟁으로 우주관광 상품이 본격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서 향후 우주관광 비용이 3만~5만 달러(약 3천457만~5천761만원)가량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주장을 한 이는 중국 민간 우주기업 싱허둥리(星河動力)의 창업자 겸 CEO 류바이치(劉百奇)다.

22일 중국매체 중신징웨이(中新經緯) 등에 따르면 류바이치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우주 관광비용은 더욱 낮아져 일반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바이치의 싱허둥리는 2018년 설립됐다. 이 회사는 재활용이 가능한 상업용 운반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 민간기업 가운데 최초로 로켓을 발사하기도 했다.

현재 우주관광은 세계 부자들의 경쟁영역이다. 

앞서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고도 86km 상공까지 관광을 했다. 고도는 낮지만 세계 첫 우주 관광자를 기록을 세웠다.

이어 세계 최고 부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이사회 의장은 20일 고도 106km까지 올라갔다.

현재 우주 관광은 대략 25만달러(약 2억8천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책정되고 있다. 

브랜슨 회장이 세운 버진 갤럭틱은 우주선 티켓에 이 정도의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류바이치은 우주 여행을 궤도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했다. 그는 "궤도까지 올라가는 상업 우주여행 비용은 8천만 달러(약 920억6천만원)로 일반인은 꿈을 이루기 어렵다"면서도 " (최근 서방 사례와 같이) 궤도에 오르지 않는 경우 초속 1km, 고도 100km 정도면 돼 기술난이도와 여행 비용이 낮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