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대 무협 소설가...1위는 김용

 

중국인, 심지어 한국인 중에 적지 않은 이들이 한 번은 본 천룡팔부 드리마 화보다. 중국에선 시시 때때로 제작돼 연도별 버전이 다양하다. 그 때 그 때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나온다. 화보는 지난 2019년도 버전이다.

중국에서 마오쩌둥 어록보다 많이 읽혔다는 책이다. 작가는 김용이다. 

무협지를 문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이다. 

김용은 필명이지 본명은 아니다. 김용은 집안 대대로 문인으로 유명한 사씨 집안 출신이다. 명청시대 진사만 수십명을 배출했다고 한다. 

무협지는 남성들의 로망을 담고 있다. 세상을 뒤엎는 개세의  무공을 지니고 뭇 여성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다. 세상에 못할 게 없지만 하고 싶은 일이 별로 없어 세상을 소요한다.

인생은 나그네 길이라고 하는데 너무나 멋있어만 보인다.

그런 무협지로 중국, 아시아 뭇 남성들의 마음을 사로 잡은 작가들이 있다.

1위는 역시 김용이고, 이어 고룡이다.

고룡은 홍콩 작가다. 술을 좋아해 병이 들었고 요절했다. 죽을 때 나이 만큼의 술병을 친구들이 같이 묻어줬다는 소문이 있다. 

다음이 역대 가장 유명한 무협작가들의 순서다.

 

1. 金庸 (김용)

김용은 당대 무협소설작가, 저널리스트, 기업가, 정치평론가, 사회활동가로 '홍콩의 4대 인재' 중 한 명이며 대표작 '《射雕英雄传》사조영웅전'은 중국 10대 유명 소설 중 하나다.

 

2. 古龙 (고룡)

원래 이름은 웅요화(熊耀華)이다. 고룡은 연극·추리·시가 등을 전통 무협에 끌어들인 문화적 색채로 '《多情剑客无情剑》다정검객무정검' '《绝代双骄》절대쌍교' '영웅무루' 등이 대표작품으로는 '다정검객무정검' '절대쌍교' '《英雄无泪》영웅무루' 등이 있다.

 

3. 梁羽生 (량위성)

본명은 진문통(陳文統)으로, 김용(金勇), 고룡(古龍)과 함께 중국 무협소설 3대 종사로 불리며, 신파 무협소설의 개산조사(開山祖師)로 불리며 대표작은 ‘《白发魔女传》백발마녀전’ ‘《七剑下天山》칠검하천산’ 등이 있다.

 

4. 还珠楼主 (환주루주)

본명이 이수민(李壽民)이며, 충칭(重慶) 출신으로 '현대 무협소설의 왕'으로 불리는 환주루주는 평생 4000여만 자, 무협소설 36편 가운데 '《蜀山剑侠传》촉산검협전' '《青城十九侠》청성십구협' 선협 시리즈가 유명하다.

 

5. 柳残阳 (류잔양)

본명 고견기(高見基)인 류잔양은 1990년까지 40편의 작품을 썼으며 대표작으로는 ‘《玉面修罗》옥면수라’ ‘《枭霸》효패’ ‘《枭中雄》효중웅’ 등이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