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이든 반려견에 애도 표한 대만 차이잉원에 中네티즌 "비굴한 아첨이야"

"미국 백악관의 ‘퍼스트 도그’인 저먼 셰퍼드 종 ‘챔프’가 13세로 세상을 떠났다고 AFP통신이 20일 보도했다."

국내 한 언론도 전한 미 백악관 소식이다. 

바이든의 개가 죽자 백악관이 공식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각국의 애도가 이어진 것도 이 때문이다. 백악관에서 공식 성명을 냈는데, 애도를 표시하지 않으면 어색한 것이다.

본래 중국 속담에 개,닭은 주인이 관직이 높으면 날아다닌다고 했다. 개 닭의 운명은 어떤 주인을 만나느냐에 달린 것이다. 그게 사실은 사람도 비슷하다.

하지만 중국 네티즌들은 신기하기만 하다. 애완견 죽음에 반응이 지나치다는 것이다. 

많은 중국 전문가들에게 정작 이해가 안되는 것은 이들 네티즌 반응이다. 중국인들은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이 극진하기 때문이다. 

중 네티즌들은 그저 미국이 미운 것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바이든의 애 사망 소식에 대만의 차잉원 총리도 애도를 표했다.

사실 바이든 애견 사망에 국가 대표가 같이 애도를 표하는 건 좀 과하다 싶다. 

본래 정승이 나면 집안의 개가 더 난리라는 중국 속담이 있다. 정승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개한테도 잘한다는 것을 비꼰 말이다.

이 말 때문이라도 중국에서는 바이든의 애견 사망에 애도하는 것은 보기가 좋지 않다.

뻔히 사정을 알지만 중국인들의 마음이 편하진 않은 듯, 이에 대해서도 비판적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 대만 싫기만 한 게 중국 네티즌인 듯 싶다.


 

 

우스워!

 

그 숨겨진 글자들은 사람들에게 분노를 느끼게 하지.

 

토끼의 죽음을 여우가 슬퍼하듯,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하네.

 

이런 방법은 너무 한심해.

 

우습기도 하고 슬프기도 해.

 

비굴하게 남에게 아첨하고 조금의 존엄성도 없어.

 

참 그러면서 다른 나라의 아첨은 바라는 게 중국이다. 정말 우습고 슬프기도 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