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도심 봉쇄도 검토중

 

타이완의 코로나19 확진자 총수가 하루에 555명에 육박하고 사망자도 19명이나 발생하는 등 최근 며칠사이에 심각한 사태에 이르자, 군인들의 출동으로 봉쇄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베이징 르빠오 (北京 日报 、베이징일보)와 환치우 스빠오 ( 环球 时报 、 환구 시보) 는,  오늘 28일 타이완의 방역지휘본부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확진자가 297명이고, 역외 입국감염자가 2명, 그리고 교정회귀( 校正回归) 확진자가 258명 이었다고 발표한 것을 합계해, 28일의 국내발생 확진자 수가 555명에 이르렀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들은 이와 함께  타이완의 중앙셔 (中央社) 매체등을 인용해 , 타이완의 중앙방역지휘본부가현재 3급인 비상경계령을 4급으로 상향하는 동시에 군대의 투입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을 정도로 , 섬 내의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고 전했다.

 

타이완 방역본부가 마련해 놓은 4급 비상경계령은, 군 인력이 투입된 가운데, 버스등 공공교통수단의 운행은 물론 자기용이나 개인사업자들의 차량운행까지를 통제할 수 있는 고단위의 처방으로 알려졌다.

 

또 이 조치는 인파가 많은 대형 사무실과 건물 그리고 시장과 수퍼마켓의 영업까지도 제한 할 수 있는 등의 전면적이고 강력한 봉쇄방안조치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타이완 섬의 제 1의 도시인 타이뻬이의 커원저 (  (柯文哲) 시장이 철야회의까지 열었다고 환치우 스빠오등이 보도했다.

 

한편 타이완은 현재, 타이베이 시는 물론 인근한 서북부의 인구 약 200만 타오위엔 ( 桃园 ) 시도 , 현재 누적환자가 383명에 달하는 등 , 타이뻬이 신뻬이 등 타이완 섬의 북부일대의 역병상황이 가장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