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中31개 성급 지역 중 가처분소득 순위 1위

 

중국 도시 중 상하이 가처분소득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상하이 시민들의 소비 능력이 가장 높다는 의미다. 

수도 베이징은 2위를 차지했다. 소비가 높은 도시일수록 물가도 높다. 

 

중국의 31개 성급 행정지역(34개에서 타이완, 홍콩, 마카오 제외) 주민들의 가처분소득 조사 결과, 상하이와 베이징이 1, 2위를 차지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올해 1분기 31개 성급 행정지역 일인당 가처분소득(人均可支配收入) 통계에 따르면 상하이는 2만1548위안( 약 3660만원), 베이징은 1만9585위안(약 3330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또 3위는 저장성, 4위는 장쑤성이 각각 차지했다. 

 

조사 대상 31개 성시 중 전국 평균 9700위안(약 1649만원)을 넘는 지역은 8곳이었다. 또 26개 지역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인 지역은 후베이성으로 전년 대비 24,4% 상승한 8799위안(약 1500만원)이었다.

 

반면 깐수성, 신장웨이우얼자치구, 시짱자치구 등 3개 지역은 6000위안(약 1020만원) 이하를 기록해 중국의 지역별 개인소득 편차가 여전히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이와 같은 배경에 힘입어, 하이난성의 인구의 취업율과 소득액이 신속하게 증가함으로서, 평균 가처분소득의 순위는 향후 다른 어떤 지역에 비해서 가장 빠르게, 비약적으로 올라갈 것이 분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