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알리바바 이어 음식배달 ‘어러머’ 본격 압박

 

마윈(馬雲)의 규제 정면 비판 후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 그룹 전반을 향한 고강도 압박을 이어가는 가운데 이번에는 알리바바의 음식 배달 서비스인 어러머(饿了麽)가 새로 단속 대상이 됐다.

 

19일 온라인 매체 펑파이(澎湃) 등에 따르면 안후이성 허페이(合肥)시 시장감독관리국은 알리바바 계열 음식 배달 서비스인 어러머에 입점한 식당 중 일부가 식품 영업 허가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어러머를 상대로 정식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시장감독관리국은 어러머의 경쟁사인 메이퇀(美團) 역시 같은 문제가 발견돼 함께 조사 중이라고 설명하면서 향후 두 회사에 벌금을 부과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어러머와 메이퇀은 한국의 '배달의 민족'처럼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양사는 중국의 음식 배달 서비스 시장을 거의 양분하고 있다.

 

마윈이 작년 10월 공개 포럼에서 감독 당국을 정면으로 비판한 이후 중국 공산당과 정부는 알리바바 등 거대 인터넷 기업들을 향한 규제를 크게 강화했다.

 

특히 알리바바는 중국의 여러 인터넷 기업 중에서도 가장 강도 높은 규제와 단속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의 경우 작년 11월 상장이 취소된 가운데 당국의 금융지주사 재편 및 대규모 증자 요구로 공중분해 되어 실질적 주인이 바뀔 처지에 놓였다.

 

모회사 알리바바는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타오바오(淘寶) 등 자사 플랫폼 입점 상인이 다른 경쟁 플랫폼에 입점하지 못 하게 했다는 '양자택일' 문제와 관련해 반독점 조사를 받고 있는데 일각에서는 당국이 최대 1조 원대의 벌금을 부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알리바바는 당국에 제대로 신고를 하지 않고 인수합병을 했다는 이유로 벌금을 맞기도 했다.

 

중국 공산당은 인터넷 기업 단속 기조를 계속 이어갈 태세다.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15일 '인터넷 플랫폼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주제로 열린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위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인터넷) 플랫폼 경제가 중대시기를 맞고 있다"며 "장기적 각도에서 돌출된 모순과 문제를 해결해 플랫폼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재경위는 이날 회의 후 "(당국의) 관리 능력을 강화하고 감독의 틀을 선진화하는 가운데 사전과 사후를 포함한 전 과정에 걸친 관리·감독을 실현해야 한다"며 "관리·감독의 권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고 천명했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