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시아 대상 중국-인도 백신외교전 치열...중국, 아프간에 중국 백신 40만 회분 지원

무상 제공으로 영향력 확대 꾀해

국제사회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중국이 '백신외교'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이 자국 제약사 시노팜의 코로나19 백신 40만 회분을 아프가니스탄에 지원키로 했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아프간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아프간 보건부의 면역 프로그램 책임자는 이날 "주아프간 중국 대사가 우리 보건 당국자들에게 중국이 코로나19 백신 40만 회분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지원시기에 대해서 당국자가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최근 인도에게도 백신지원을 받은 바 있다. 인도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0만 회분을 지원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지난달 23일부터 접종을 시작한 상태다.
현재까지 아프간 전역에서 보건 종사자 12만명 이상이 백신을 맞았다. 현재 아프간치안군(ANSF)에게도 접종을 시작한 상태다.
아프가니스탄 보건 당국은 앞으로 국제 백신공급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의 공급도 받을 예정이다. 
현지 관계자는 "약 3800명에 달하는 총인구의 20%를 접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중국과 인도 동시에 아프가니스탄 백신 공급에 나서는 것은 이 나라에 대한 양국의 영향력 확대를 꾀하려는 것이다. 세칭 '백신외교전'인 셈이다.
선공은 인도가 했다. 인도는 본래 의약품 제조 강국이다. 이 잇점을 최대한 살린 인도는 주변국에 다량의 백신을 무상으로 제공하며 관계 회복과 영향력 확대를 꾀해 왔다. 
여기에 중국도 질세라 맞서고 나선 것이다. 
앞서 네팔과 파키스탄도 중국과 인도 모두로부터 백신을 지원받거나 지원을 약속받았다. 중국과 인도 백신외교전이 치열해지면서 주변국들은 속으로 쾌재를 부르고 있다. 

박정민/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