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유일 중국이 자체적으로 주교임명하는 중국 천주교도는 무려 1,200만명

 

전세계의 천주교의 주교는 로마 교황청이 임명한다. 완벽한 중앙집권식이다.

 

그런데 예외국가가 있다. 바로 중국이다. 중국에도 천주교도가 있고 그 신도 수는 2019년 말 현재 약 1,200만명으로 추산된다.

 

중국은 1949년 10월 신중국 즉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우고 교황청과 국교수립협의를 했으나, 1951년 당시 교황청은 이를 거부하고 타이완을 유일정부로 인정했다.

 

중국은 이후 자국에 천주교 애국회와 천주교 주교단을 설립하고, 자국 내 천주교성당과 신자들을 보호하며서 중국인 신자중에서 신부와 주교를 임명해 오늘 날에 이르고 있다. 지난해 말 천 2백만명이 총 신자는 젊은 세대들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의 인구는 14억을 넘어 조만간 15억명을 넘을 것이다. 중국의 천주교도들은 주일이면 한국과 세계의 천주교도들과 똑같이 성당에 나가 예배를 보고 스스로 천주교도 라고 스스럼없이 밝히고 종교생활을 한다.

 

교황청은 2013년  현 프란치스코교황이 취임한 이후, 그 이전 교황과 달리 중국 천주교에 큰 관심을 가지며, 중국정부가 독자적으로 실시하던 주교임명에 대해 교황청의 축복을 전하는 등, 전통의 중앙집권식 주교임명권 행사에 예외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 매체들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중국에서의 천주교도 확장가능성을 밝게 봤던 것으로 분석했다.

 

과거 교황때까지는, 중국천주교는 교황청이 인정하지 않는 주교가 예배를 집전했었다. 즉 교황청의 입장에서는 천주교가 아니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3월 선임직후부터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고 있는 중국에 더 적극적으로 중국에 다가섰다.

 

그는 중국 천주교 애국회가 213년 말  산시(山西)성 창즈(長治)교구의 주교로 딩 링 빈 (丁令斌) 신부를 서품할 때 공동으로 임명한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2014년 5월에도 중국 천주교 애국회가 쓰촨성 청두교구의 신임 주교로 임명한 탕 위안 거(唐遠閣·53) 주교에 대해 축복을 내렸고, 2년 뒤인 2016년 탕 주교의 재임명때도 공동임명 성명을 발표했다.

 

이렇게 중국과 가까워진 교황청은 아예 2018년 9월에는, 중국 천주교 애국회의 독자적인 주교임명명권을 인정한다는 협정을 맺기에 이르렀다.

 

협정기한은 2년이었으나, 올해 2020년 10월  2018년의 협정을 다시 2년 더 인정한다고 양측이 공식발표했다.

 

 22일(현지시간) 교황청이 발표한 성명에는, " 지난 2년동안 양측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는 문귀가 적혀있었다.

 

중국 외교부도 교황청의 성명에 화답하며, 더욱 가까운 관계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하자고 밝혔다.

 

세계 매체들의 보도를 종합하면, 교황청과 중국정부가 완전한 관계정상화를 위해 합의하려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황청은 중국의 자체적인 주교임명권을 인정하고 , 중국은 교황이 존재를 세계 천주교의 최고 지도자로 인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고 알려진다.

 

적지 않은 이들이 중국에 대해 오해하는 부분이 바로 종교문제인데, 사실 중국인민공화국에는  공산당이라는 신앙이 있다. 

 

외부에서 알고 있는 것처럼 공산주의는 중국에서 정치사상이기도 하지만 신앙으로 격상돼 있다.

 

바이두의 인물검색에 보면, 적지않은 이들이 자신의 종교를 공산주의로 밝히기도 한다.

 

신중국의 국공내전을 다른 역사극이나 전쟁극을 보더라도, 홍군이 국민당군에 포로가 돼 조직원명단이나 첩보를 털어놓으라고 하면, 나의 신앙을 배신할 수 없다는 대사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을 정도다.

 

신앙의 자유가 중국에는 있다 없다 라는식의 질문은 이미 중국에 대해서는 의미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