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잡은 중국, 국내여행업 부양책으로 평년 90% 까지 내수회복 기염

 

중국의 국내여행을 전담하는 온라인여행사들의 매출이 평년의 90% 선까지 급성장하고 있다고 중국매체들이 보도했다.

 

이와 같은 중국의 국내여행경기의 빠른 회복은, 베이징 신파디 시장에서 발발한 베이징 2차역습사태가 안정화된 지난 7월달 중순부터 약 한달동안의 짧은 시기동안에 이룬 성과라고 글로벌 타임스는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의 국내관광업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회복하고 있는 것에 대해 여행업계 내부에서도 놀랄 정도라고 전하며, 이는 코로나19로 침체된 중국의 내수경제를 회복하려는 전 인민들의 자발적인 동참이 이뤄낸 성과이기에 더 값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타임스는, 중국 국영 중국청년여행사의 마케팅 매니저와의 인터뷰에서 " 지난 7월 15일부터 이번 달 12일까지 약 한 달이 안되는 기간동안의 베이징시 관광 매출은, 지난달 같은 기간과 비교해 무려 4배 이상 늘어난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리고 중국의 각 성간의 여행객 이동인구도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7배 이상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신문은 중국내의 코로나19는 전 대륙에 걸쳐 단 한명의 확진자가 나오지 않을 정도로 안정화됐으나, 아직 코로나19가 창궐하고 있는 외국으로 나갈 방법도 없기에, 이런 해외여행의 수요까지 중국 국내여행에 몰리면서, 결과적으로 국내여행매출이 코로나 이전의 국내여행관련 매출보다 더 커질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 신문은 이어, 이런 상황의 변화에 따라,  중국청년여행사를 비롯한 많은 대형  여행사들의 기존의 해외여행부서 직원들이, 모두 국내여행파트의 부족한 일손을 메우기위해 국내여행 부서로 이동해, 국내여행특수로 인한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는 업계의 변화소식을 전했다.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이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씨트립에 국내 여행상품을 등록한 여행사가 무려 4천개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씨트립에 이어 중국온라인 2위 여행사인 취날 왕(去哪網)의 매출도,  지난해 동기의 90% 수준까지 급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국내관광지로는 단연 남부 윈난(云南)성과 궤이저(貴州)성 그리고 서부 쓰촨(四川) 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여름철 성수기에는 이들 3개 성의 여행객이 통상 75% 수준을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박혜화기자 연합뉴스(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