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은 모든 형태의 차별과 편견에 반대한다.”

외국인 혐오 증가에 대한 외교부 대변인 논평

 7일 Zhao Lijian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항상 중국 내 외국인의 안전과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법에 따라 합법적인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며 어떠한 차별과 편견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중국의 모든 외국인은 <중화 인민 공화국 전염병 예방법 >등 관련법을 준수하고 다양한 장소에서 전염병 예방 및 통제에 관한 관련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한다고 말했다.

 

 기자 회견에서 기자가 일부 언론은 중국이 전염병 수입을 막기 위해 외국인의 출입 통제 조치를 강화한 이후, 중국에서 외국인 차별에 대해 비판하는 목소리가 있으며 중국의 외국인 혐오증이 증가했다는 비판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Zhao Lijian은 중국은 항상 중국 거주 외국인의 안전과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법에 따라 합법적인 권리와 이익을 보호한다고 말했다.

 

  "바이러스는 감정이 없는 물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발한 이래 중국 정부와 지방 정부는 생명, 전염병 예방 및 의학적 수요에 대응하고, 중국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외국인을 지체없이 치료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중국의 일부 외국 국적 거주자들은 전염병 퇴치에 대한 중국인의 연대 노력과 결과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관심과 보살핌에 대해 중국에 진심으로 감사하며, 중국의 전염병 예방 및 통제 조치에 전적으로 협조하며, 많은 외국국적 거주자들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중국과 함께 전염병 퇴치를 위해 자원 봉사 활동을 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중국인과 외국인의 협업이라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남기기도 했다. 중국은 어떠한 형태의 차별과 편견도 반대한다.”라고 Zhao Lijian은 강하게 말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상황에 따라 중국은 입국 후 중국에 오는 외국인에 대한 검사, 검역, 예방 및 통제 조치를 조정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현재의 전염병에 대응하고 많은 국가의 조치를 참조하여 중국이 어쩔 수 없이 취하는 임시 조치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국은 중국인과 외국인 모두에 대한 책임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우리는 항상 외국 시민과 국민을 동등하게 대우하고 차별없이 해당 조치를 이행하며, 당사자의 합리적인 우려를 완전히 돌보고 그들의 종교와 관습을 존중한다.

 

 우리는 외국 시민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전염병 예방 조치를 추가하지는 않았다.  또한 외국인이기 때문에 전염병 예방 관련 규정을 줄이거나 완화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모든 외국인은 전염병 예방 및 통제에 관한 중화 인민 공화국의 법률 및 전염병 예방 및 통제에 관한 기타 관련 법률 및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우리는 중국의 외국인이 중국이 취한 예방 및 통제 조치를 지속적으로 완전히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를 바란다.

 

 전염병으로 인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과 안전을 유지하고, 전염병을 물리 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