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스타트업을 위한 축제, ‘컴업 2019’ 열려

박 장관 “글로벌 축제로 브랜드화할 것”

2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국내외 스타트업 간의 교류를 위한 행사인 'K스타트업 위크 컴업 2019'(K-StartUp Week ComeUp 2019)가 이달 마지막 주 부산과 서울에서 열린다고 발표했다. 행사 이름의 컴업(ComeUp)은 '움트다', '떠오르다'라는 뜻으로, 앞서 국내 위주로만 진행됐던 '벤처창업대전'을 세계 수준 페스티벌로 새롭게 확장한 것이다.

 

먼저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선, 오는 25~26일 한국과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의 스타트업, 유니콘(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 투자자 등이 참여하는 '한·아세안 스타트업 엑스포, 컴업'이 열린다. 부대행사로 열리는 행사는 스타트업 콘퍼런스, 기업설명회(IR) 피칭, K뷰티 페스티벌 등이다.

 

스타트업 콘퍼런스에는 크래프톤, 쿠팡, 고젝, 부칼라팍 등 한국과 아세안의 유니콘과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연사로 출연해, 성공 스토리와 글로벌 진출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스타트업 정책을 교류하고, 협업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도 준비된다.

IR 피칭에서는 한국과 아세안의 유망 스타트업 21개사가 참여하며, 참여사가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하고 유니콘 관계자와 벤처캐피탈(VC) 등의 멘토링을 받는다.

K뷰티 페스티벌에선 K팝 공연, K뷰티 제품 전시·체험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중소기업 공동브랜드인 '브랜드 K'의 우수 제품들도 선보여질 계획이다.

 

부산에 이어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는, 오는 27~29일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19'(ComeUp 2019)가 개최된다.

'컴업 2019'는 푸드, 교육과 라이프스타일, 바이오·헬스, 뷰티 패션, 프런티어(AI·블록체인), 엔터테인먼트, 모빌리티, 핀테크 등 총 8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세션별로 국내외 유명 연사들이 참여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9일에는 최근 검찰로부터 불법 판단을 받은 '타다'의 박재욱 대표가 연사로 나서, 모빌리티 분야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강연한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스타트업 10개사가 참여하는 IR 피칭, 8개 세션의 우승 기업이 발표되는 왕중왕전, 기업 간 매치메이킹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또한 구글, 오라클, BMW, 알리바바 클라우드, 현대차.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과 미국 스탠퍼드대, 알토대 등 대학 관계자들도 참여한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중기부가 강조하는 것이 연결의 힘인 만큼 대기업, 스타트업, 정부, 민간 등 다양한 주체가 상생 협력해 행사를 기획했다"면서 "컴업을 핀란드 슬러시, 포르투갈 웹 서밋 같은 글로벌 축제로 브랜드화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박 장관은 타다 박 대표의 강연에 대해선 "컴업은 글로벌화한 기술 발달이 어디까지 왔고, 4차 혁명을 이끈 기술을 어떻게 흡수하느냐를 논의하는 자리"라면서 "그런 면에서 타다의 박 대표 강연이 더 좋은 케이스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