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제로금리 국가 될 수 있을까

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 지나치게 높아 가능성 커

전 세계적으로 돈이 넘쳐 나면서 돈의 가치가 땅에 떨어진지 오래다. 한마디로 ‘제로금리’ 시대다. 제로금리는 내수를 자극해 경기를 회복시키고 기업의 채무 부담 등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이자소득에 기대에 사는 노년층의 소비가 위축될 수 있고 투자처를 부동산에 집중시켜 주택가격 폭등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일본이 1999년 제로금리정책을 선언하면서 유럽 국가들이 뒤를 잇고 있다.

 

중국도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의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등 경제성장이 둔화되면서 제로금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가금융발전연구소와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6월 중국 기업부문 부채 비중이 명목 GDP 대비 또한 비금융기업의 레버리지율은 155.7%로 전년 말보다 2.2포인트 높아지고 정부부문 레버리지율 (38.5%)와 주민부문 레버리지율(55.3%)보다 활씬 크다. 기업부문 채무 가운데 융자난을 겪고 융자가 비싼 민영기업의 채무 비중이 30% 가까이 된다.

 

중국 경제학 전문가 주혜빈은 15일 푸단대학교(复旦大学)경제학원에서 열린 학술살롱에서 “세계의 주요 고채무 선진국에서 정책금리가 하락하고 있고 중국을 제외하고 제로금리 다 나왔었다”며 “중국 기업의 채무 상환 부담이 너무 높아 신규 신용대출의 효율적 수요를 밀어내고 있고, 그래서 중국이 다음 제로금리 국가가 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중국의 총 채무는 명목 GDP의 2.6~2.7배 정도로 높지만 외채 수준은 10~15% 정도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참고기준에 따르면 현재 3조위안에 이르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잠재적 위기에도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

 

IMF가 권고하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조2000억달어에서 3000억달러 선. 중국은 오랜 기간 이 수준보다 훨씬 높았다. 현재 이 숫자는 하향 조정되어 있고 마침 합리적인 구간에 있기 때문에 논리상 중국은 아시아 금융위기 같은 상황이 없을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