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늘날의 중국은 세계의 중국이다."

환구시보, 28일 사설에서 인용한 왕이 외교부장의 27일 유엔 연설 제목

"오늘날의중국은 세계의 중국이다."

왕이 외교부장이 27일 유엔에서 발표한 연설 제목을 환구시보가 '유엔은 이런 알찬 말이 필요하다'며 사설로 호응하고 있다.

중국이 세계에 전하는 메시지다. 사실 새로운 게 아니다. 세계가 중국이라는 생각은 고대부터 있었던 생각이다. 중국이 중국이고,중원이라 불렸던 이유이기도 하다.

세계의 가운데 있는 나라라는 뜻이다.

이제 오늘날의 중국은 세계의 중국이다는 선언 역시 이 의미일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마치 춘추전국시대 패왕을 칭하는 순간이 생각난다.

환구시보는 신이나 사설을 이어간다. "세계가 중국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고 평하고 있다. 사설에 따르면 왕이는 연설에서 "중국이 모든 이들을 평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며 공평한 정의를 지키고자 힘쓰며 상호 협력과 이익을 추구하고 잇다고 했다.

춘추전국시대 패왕을 칭하고자 했던 모든 국가의 국왕들이 했던 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