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 주택 임대사업자 지방세 감면 혜택↑… 3년간 ‘1천 700억 원’

송파•강서•강남구 순으로 혜택 많이 받아

 

최근 3년간 서울에 등록된 주택임대사업자에 제공된 재산세와 취득세 등 각종 지방세 감면 혜택이 17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안호영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서울시로부터 제공받은 주택 임대사업자 재산세·취득세 감면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약 3년간 주택임대사업자에게 제공된 재산세와 취득세 감면 혜택 규모는 126만6000건, 1691억4000만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재산세 감면이 124만3000건, 677억5000만원이며 취득세 감면은 2만3000건, 1014억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재산세 감면 건수는 취득세 감면 건수에 비해 월등히 많음에도 감면 액수는 취득세에 해당하는 금액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도별 재산·취득세 통합 감면 건수는 2017년에 36만2천687건이었던 것에 비해 2018년에는 422만2천477건으로 16.5% 증가했다. 취득·재산세 감면금액도 2017년 498억4361만 원에서 2018년에 656억7660만 원으로 31.8% 증가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2017년 말에 발표된 정부의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을 주된 영향 요소로 꼽았다.

 

현재 신축 또는 최초로 분양된 전용면적 60㎡ 이하 공동주택과 임대주택으로 등록한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취득세 100%가 면제되고 임대 기간과 주택 규모(전용 85㎡ 이하)에 따라 재산세 감면 혜택이 차등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올해도 감면 혜택은 이어지고 있어, 9월 현재 재산·취득세 감면 금액은 총 536억2천만 원으로 지난해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작년 수준을 이미 초과했다.

 

최근 3년간 구별로 감면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송파구(15만6천 건, 202억3천만 원)였으며, 2위는 강서구(14만9천 건, 182억6천만 원)였다. 이어 3위는 강남구(14만3천 건, 169억8천만 원), 4위는 서초구(7만2천 건, 137억3천만 원)가 차지했다.

 

유형별 순위로는 연립주택(61만3천 건, 906억 원)에 주어진 감면 혜택이 가장 많았다. 이어 아파트(51만5천 건, 780억 원), 오피스텔(13만4천 건, 144억 원) 순으로 감면 혜택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호영 의원은 "임대시장 투명화와 임차인 보호를 위해 임대사업자에게 세제 지원을 하는 만큼 사업자도 임대료 인상, 임대의무기간 준수 등 세입자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