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WTO에 美 제소...미중 무역전 평화회담도 전투도 지속된다.

이달초 예정된 미중 협상 결렬될 수도

중국이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함에 따라 이달초 예정된 미중 협상이 결렬될 수 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선거로 대통령이 바뀌는 미국은 변화의 가능성이 있지만, 권력을 후계자를 정해 세습하는 중국은 공산당 지도부의 권위가 그 어떤 보다 중요하다. 현재 미중 무역전은 경제적 방면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면에서 중국 지도부의 권위를 흔드는 사항이다.

이 같은 문제에서 중국은 쉽사리 물러설 수가 없다. 중국 공산당에게 중국을 지키겠느냐, 공산당을지키겠느냐 물으면 잠시도 망서림없이 공산당이라고 답이 나오기 때문이다.

세계 어느 나라와 달리 군대 역시 나라의 소유가 아니라 공산당 소유다.

이런 상황에서 미중 무역전의 전망은 미국이 중국 체면을 지금처럼 무시해서는 어둡기만 하다. 중국도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할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게 중국 외교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상무부 홈페이지는 1일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제품 3000억달러 중 1차 관세징수 15%가 시행되자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 메커니즘에 제소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측의 조세조치는 오사카정상회의 합의와 크게 배치되는 것으로 중국 측의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출했다. 중국은 세계무역기구 관련 규칙에 따라 자신들의 합법적 권익을 확고히 지키고 다자간 무역체계와 국제무역질서를 확고히 수호한다는 방침이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법률적 사안의 세부 사항을 밝히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 소송은 중국이 WTO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관세정책에 대한 세번째 도전이다.

 

로이터는 WTO 규칙에 따라 중국은 WTO의 평결을 요구할 수 있지만 이 과정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이 법을 위반했다고 판정되면 중국은 결국 WTO로부터 무역제재 조치를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이 WTO 국제 체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국제사회에 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이미 대부분의 미국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보복 조치가 제한적이다. 중국은 2018년 9월 미국을 WTO에 제소한 바 있다.

 

중국의 제소로 애초 9월초로 예정됐던 미중 협의가 성사될지가 위험해졌다. 중국 상무부 고봉(高峰) 대변인은 지난달 29일 “새로운 추가 관세 철폐 조치가 재개 조건을 논의하는 것”이라는 말한 바 있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5500억달러의 중국 수출 상품에 대해 관세를 더 부과하고 세율을 더 올려야 한다는 미국 측 주장에 대해 반제 조치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고 대변인은 “중국의 반제 수단은 충분하지만 현 상황에서 논의되어야 할 문제는 5500억달러의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철폐하고 무역전쟁이 더 이상 고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은 미국 측과 엄정한 교섭을 벌이고 있다. 중국이 거듭 강조했듯이 무역전 업그레이드는 중국에도 불리하고 미국에도 불리하며, 전 세계 사람들의 이익에도 불리하며, 나아가 세계에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