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미 무역전쟁서 승자는 일본?

일본 반도체 업체 투자 늘리지만 시장 확대는 회의적

일본 반도체 업체 자성기술지주회사는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 회사 제품은 전통 반도체에 속하지만, 중국의 첨단 반도체 개발이 촉진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본의 이 같은 조처는향후 우리에게 대단히 좋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현재 세계반도체 분업사슬에서 가장 득을 보고 있는 게 우리 한국인데, 중국과 일본이 힘을 합쳐 대응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8일 '일본 경제 신문'에 따르면 반도체 장비 재료와 부품사인 일본 자성기술지주회사(Ferrotec Holdings Corporation·이하 페로텍로 칭함)가 앞으로 중국시장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미·중 무역 전쟁이 장기화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정은  업계 관계자들에게는 다소 의외라는 반응을 받고 있다.

 

페로텍이 운영하는 분야는 '전통 반도체' 분야, 즉 최첨단 반도체보다 3세대나 뒤처진 저가 반도체이다. 가전제품과  안면인식 기술에 주로 쓰이는 이 반도체는  현재 중국 자급률이 15%에 불과하다.

 

페로텍은 올해 설비 투자액을 지난해보다 30% 늘어난 480억엔(1엔 약 0.0092달러)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 중 중국시장을 위한 투자액은 460억엔으로, 총 투자액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내년 1월 중국 항저우(杭州)에 있는 이 회사의 공장에서 반도체 칩 기본소재인 웨이퍼(Wafer)를 생산할 수 있고, 이 제품은 중국 자체의 첨단 반도체 개발에도 중요하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미중 간 무역 마찰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이 회사의 반도체 장비 부품이 미국의 관세징수 대상이어서, 이 투자 계획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도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