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모바일 페이 시장 초고속 성장세, '무현금 사회 임박?'

중국 모바일 페이 결제 규모가 초고속 성장세를 보이며, 빠르게 ‘무현금’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ii Media)는 올 1분기 모바일 페이 거래규모가 동기대비 약 2배 증가한 83조 9000억 위안에 달했다고 전했다. 또 지난 2018년 전체 모바일 페이 거래량은 전년 동기대비 36.7%가량 증가한 277조 4000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결제가 점차 확산되며 지난 2018년 모바일 페이는 6억 5900만 명이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매월 전체 지출의 75%를 모바일 페이로 결제하는 사람의 비중은 43.6%로 집계되며 ‘무현금 사회’가 곧 도래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모바일 페이는 30세 이하의 남성이 주력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 이용자 비중은 52.8%를 차지했고, 30세 이하 계층의 이용자 비율은 60%에 가까웠다. 또 소득 면에서는 월 수입 3000위안~1만 위안 구간의 계층이 전체 이용자의 과반수가 넘는 56.1%로 집계됐다.

 

중국 양대 페이업체인 알리페이(Alipay,支付寶)와 텐센트 차이푸퉁(財付通,위챗페이+QQ지갑)의 통합 점유율은 93.2%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사업을 장악하고 있다. 올 1분기 기준 알리페이의 시장 점유율은 48.3%로 차이푸퉁(44.9%)를 제치고 업계 1위로 올랐다.

 

선두업체 알리페이는 1~2선 대도시 시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고, 고액 결제 비중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 거주민들이 알리페이를 통해 고액 결제를 하는 비중은 64.4%를 차지했다.

 

반면 경쟁사 위챗페이는 3-4선 도시 시장 및 소액 결제분야에서 비교 우위를 보이고 있다. 3-4선 도시 이용자들이 위챗페이를 통해 소액 결제를 하는 비율은 76.5%로 나타났다.

 

아이미디어는 대도시에서 모바일 페이의 보급이 이미 충분히 이뤄진 만큼 양대 업체의 향후 승부처는 3-4선 도시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양대 모바일 페이 업체는 해외 서비스 역시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알리페이는 지난 4월 영국의 바클리카드(Barclaycard)와 손을 잡고 영국 전역의 11만개에 달하는 매장에서 결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