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감히 하지 않은, 부감(不敢)의 용기있는 이가 산다. … 침 흘릴 활(活)3

침 튀며 살 활(活) 자는 언제부터 쓰였을까? 비교적 오래된 사례가 노자의 도덕경이다. 노자는 죽일 살(殺)의 반대의 뜻으로 살 활 자를 쓰고 있다. 감히 하지 않는 데 용기를 내는 이가 살 것이라고 했다.” 

 

勇于敢則殺, 勇于不敢則活
yǒng yú gǎn zé shā , yǒng yú bú gǎn zé huó” 

 

'감히 하는 것' 보다 용감하면 죽을 것이고, '감히 아무 것도 못하는 것'보다 용감하면 살 것이다. 

 

노자 도덕경 73장에 나오는 말이다. 于는 ~ 하는 데 있어서 또는 ~하는 것 보다 등의 뜻이다. 쉽게 말해 '용감'하면 죽기 쉽상이고, '용무감'하면 산다는 의미다. 
용감과 부용감이 아니라 용감과 용부감이라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먼저 용감을 보자 용감은 흔히 쓰듯 겁 없이 나선다는 뜻이다. 그럼 용부감이란 무엇일까? 부용감은 용감하지 않다는 의미다. 겁쟁이라는 말이다. 용부감은 이와 다르다. 부감하는 용기가 있다는 뜻이다. 겁쟁이라는 의미와 달리 감히 하지 않는 용기를 낸다는 의미다.
참 묘한 말이다. 절로 무릎을 치게 한다. 본래 감히 하는 것보다 감히 하지 않는 게 더 어려운 법이기 때문이다. 

살면서 사람은 누구나 한번쯤 모험을 해야 하는 순간에 직면하게 된다. 인생의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 결정적인 순간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 순간 모험을 피한다. 그냥 안전을 택한다. 위험의 대가를 잘 알기 때문이다.
진정 용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 순간 모험을 피하지 않는다. 과감하게 나선다. 그 것이 용감이다. 헤겔은 그래서 "세상의 모든 사람은 노예가 되길 원치 않는다. 모두가 어쩔 수 없어 노예가 된다. 오직 죽어도 노예가 되지 않겠다는 이들 가운데 살아 남은 자가 주인이 되는 것이다"고 말한 것이다. 
용감은 한 두차례 성공을 가져올 수 있다. 인생의 도박에서 성공하면 삶의 모든 것이 달라진다. 자기 인생의 주인이 된다. 
그러나 이런 성공의 단맛을 본 이들이 쉽게 빠지는 것이 용감한 도전을 되풀이 한다는 것이다. 삶에서 도박의 결과는 냉혹하다. 반드시 실패에 직면한다.
진정한 용기는 여기서 발휘된다. 굴할 줄 하는 용기다. 자신을 굽혀 감히 하지 않고 참는 용기다. 
대부분 사람들은 삶에서 꼭 필요한 도박을 할 용기도, 자기를 굽혀 참을 용기도 없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은 위험의 확률이 낮은 엉뚱한 모험은 되풀이 해서 즐긴다. 
노자는 말한다. 

 

​“부감(不敢)의 용기를 지닌 자여, 살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