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반기 중국 경제는 ‘기술 산업’이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다.
그만큼 IT와 AI 등 첨단 산업에서 중국의 신기술은 이미 세계를 놀래킬 수준으로 성장했다. 하반기 중국 당국은 신 기술 산업을 보다 적극 육성해 중국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하반기 신 기술 산업 육성 방침을 놓고 적극 실천에 나섰다.
중국 산업은 올 상반기 이미 이 같은 신 기술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했다. 중국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4%, 장비 제조업은 10.2%, 고기술 제조업은 9.5% 증가했다.
3D 프린터, 신에너지차,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각각 43.1%, 36.2%, 35.6%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올 상반기 산업 생산 데이터를 보면 신산업·신기술이 양호한 발전세를 보였다”며 “이는 중국 경제의 종합적인 경쟁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체들 분석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 같은 추세에 3가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첫째, 글로벌 산업 분업 구조를 재편하고 전략적 주도권을 선점하는 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둘째,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지위를 지속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셋째 전 요소 생산성 향상과 성장모델 재편을 불러왔다는 점, 무엇보다 지능화 개조를 통해 전통 산업을 활성화시켰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당국은 소위 ‘플랫폼 경제’라는 개념을 도입해 IT 신 기술 유통으로 기존 소비재 제조업에 새로운 부흥의 전기를 마련했다. 글로벌 시장 곳곳에서 가성비 좋은 소비재를 직접 구매하는 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중국 내수 시장 역시 글로벌 시장과 비슷한 구조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상반기 전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했으나, 6월에는 0.1% 상승했고, 근원 CPI는 0.7% 올라 지난해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국 공업생산자 출하가격(PPI)은 2.8% 하락했다. CPI 하락은 소비 수요가 다소 평탄함을 보여줬고, PPI 하락은 투자 수요 부족을 반영했다. CPI와 PPI를 종합해 보면, 소비·투자 모두 내수에 추가 성장 여지가 있었다.
물가 흐름은 경제와 민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중국 매체들은 평가했다. 현재 물가 흐름은 내외 복합 요인의 결과이며, 핵심은 유효 수요와 공급 사이의 새로운 균형점을 찾는 것이었다.
중국 매체들은 하반기 이 같은 추세가 더욱 짙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하반기에는 ‘서비스 소비 확대+전통 산업 업그레이드+기대 관리 강화’를 통해 시너지를 내기 위해 힘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이 성공적인 결과를 낸다면 중국 내수 물가는 점차 합리 구간으로 회복될 전망이었다. 중국 당국은 국가 경제의 주체인 시민 입장에서는 소득 증가 둔화와 이로 인한 소비 양극화의 장기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쓴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다 중·저소득층에 더 기울이는 정책을 펼칠 예정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소득 보조·고용 훈련 등으로 소비 능력을 높여 경제 성장의 내생 동력을 더욱 강화하고 회복탄력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