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상반기 기계공업 성장세 10% 육박

‘9.0%, 9.4%’

중국의 올 상반기 기계공업 기업들의 전년동기 대비 부가가치와 영업이익 증가폭이다. 중국의 국가 발전 속도를 훨씬 앞지르는 수치들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기계공업연합회는 최근 2025년 상반기 기계공업 경제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기계공업 규모 이상 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해 전국 산업과 제조업 증가율을 각각 2.6%포인트, 2.0%포인트 웃돌았다.

또한 영업수익은 15조 3천억 위안(약 2,952조 2,8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해 전국 산업 평균보다 5.3%포인트 높았으며, 총이익은 7,912억 1천만 위안(약 152조 6,7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해 전국 산업 평균보다 11.2%포인트 높았다.

중국 매체들은 “상반기 기계공업의 경제운영은 안정 속에서 호전을 보였으며, 제품 생산과 판매가 안정적으로 증가했고, 대외무역도 회복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중국기계공업연합회 집행부회장이자 대변인인 뤄쥔제는 “하반기에도 여전히 유효수요 부족과 가격 내몰림에 따른 이익 공간 축소 등의 도전에 직면하겠지만, 거시 정책과 산업 정책이 지속적으로 힘을 실어주고 각종 개혁 조치들이 빠르게 추진되고 있어, 하반기에도 기계공업의 경제운영은 안정 속 호전의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궈 대변인은 업계 주요 경제지표의 증가율은 약 5.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기계공업 내 전략적 신흥산업 관련 업종의 영업수익과 총이익이 전체 기계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2.8%와 82.6%에 달했다. 이 중, 신에너지 장비, 에너지 절감 및 환경보호 장비, 고급 장비 제조 등 관련 산업의 영업수익과 이익 증가율은 모두 기계공업 전체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자동차 생산과 판매도 안정적으로 성장해, 상반기 자동차 생산량은 1,562만 1천 대, 판매량은 1,565만 3천 대로 각각 전년 대비 12.5%와 11.4% 증가했다.

대외무역 수출은 비교적 빠른 증가세를 유지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상반기 기계공업의 화물무역 수출입 총액은 5,976억 달러로 전년 대비 7.1% 증가했다. 그중 수입은 1,316억 6천만 달러로 8.2% 감소했으며, 수출은 4,659억 4천만 달러로 12.4% 증가했다. 무역흑자는 3,342억 8천만 달러로 23.3% 증가했으며, 이는 전국 화물무역 흑자의 57.1%를 차지했다.

하지만 보다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환경에 직면하면서 기계공업 운영에는 여전히 일부 어려움과 도전이 존재했으며, 회복세의 기반도 더욱 공고히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의 변동, 유효 수요 부족, 수출 압력 증가, 일부 산업의 구조적 모순 심화, 가격 경쟁으로 인한 이익 축소, 매출채권 회수의 어려움 등은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었으며, 일부 기업들은 실제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