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상반기 게임산업 수입 1700억 위안 육박

 

‘1,680억 위안’

한화로 약 32조 5,046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게임 판매 수입액이다. 전년동기대비 14% 이상 두 자릿수로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게임시장이 다시 10%대 성장을 구현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단일 시장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개최된 ‘제22회 중국국제디지털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박람회(CDEC) 고위급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1~6월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이하 “보고서”)가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내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은 1,680억 위안(약 32조 5,046억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14.08% 증가하며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고, 게임 이용자 규모는 약 6억 7,9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2% 증가하며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날 국음향영상디지털출판협회 장이쥔(张毅君) 제1부이사장은 시장 수입과 사용자 규모가 동반 성장한 배경으로 신작들의 성공 등 3가지 요인을 꼽았다.

주요 3가지 요인은 첫째, 다수의 신작 게임이 출시 후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고, 둘째, 여러 장수 게임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수익이 꾸준히 증가했다는 점이다.

마지막 셋째는 e스포츠와 미니프로그램 게임이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장이쥔은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1~6월, 중국 자주개발 게임의 국내 시장 실제 판매 수입은 1,404억 위안(약 27조 1,6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29% 급증했다. 자체 개발 게임의 해외 시장 실제 판매 수입은 95억 달러(약 13조 2,145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1.07% 증가했다.

자주개발 모바일 게임의 해외 시장 수입 지역 분포를 보면, 미국이 31.96%를 차지해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정부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게임을 가장 많이 즐기는 것이다. 이어 일본이 16.2%를 차지했다.

한국도 7.47%를 차지해 중국 게임을 즐기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이 세 나라를 합치면 전체 중국 게임 수출의 55.63%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독일, 영국, 프랑스 세 국가의 합산 비중은 8.78%로, 유럽 또한 중국 게임의 해외 진출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올해 1~6월,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은 1,253억 위안(약 24조 2,4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55% 증가했고, 클라이언트 게임 시장은 354.03억 위안으로 4.86% 증가했으며, 콘솔 게임 시장은 10억 위안(약 1,934억 8,000만 원)으로 29.78% 증가한 반면, 웹게임 시장은 22.0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7% 감소하며 하락세를 지속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중국 e스포츠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은 806억 위안(약 15조 5,9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4% 증가했다. 반면, 이차원(애니메이션 스타일) 모바일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은 145억 위안(약 2조 8,054억 원)으로 8% 감소했다고 밝혔다. 장이쥔은 이에 대해 대표 게임들의 매출 증가세 둔화 또는 하락, 신작의 혁신 부족, 게임 플레이 방식의 동질화, 이용자들의 구매 의향 약화, 그리고 경쟁 브랜드 게임의 사용자 유입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올해 1~6월 국내 미니프로그램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은 232억 위안(약 4조 4,8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중 인앱결제를 통한 수입은 153억 위안(약 2조 9,602억 원)으로 전체의 65.7%를 차지했고, 광고 수익은 79억 위안(약 1조 5,284억 원)으로 34.3%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