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상반기 베이징에서 새로 설립된 기업이 약 15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설 기업 수는 역대 동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전, 상하이와 함께 중국 경제를 이끄는 삼두 마차 가운데 하나인 베이징시의 경제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베이징 시 당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시 경제활동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베이징에서 신설된 기업은 약 15만 개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을 갱신했다.
신설 기업은 대부분이 대부분 민간기업이었다. 베이징의 경영 주체 중 민간기업이 95% 이상을 차지했다. 시 고용의 60% 이상을 흡수하고, GDP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당국은 민간기업의 발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민간경제 정책 집행을 조율하는 체계를 구축했고, 상반기에만 민간기업이 제기한 문제 1만여 건을 처리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시가 기업 친화 정책으로 기업 활동을 적극 지원했다는 것이다.
시는 외자 기업 유치에도 적극적이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외자 연구개발센터 58곳이 새로 인증되었다. 외자기업 12곳이 ‘베이징 글로벌 서비스 파트너’ 2차 명단에 포함되었다. 메드트로닉,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등 다수의 외국계 제약 R&D 기관이 국제의약혁신공원에 입주했다.
중국 매체들은 “외자기업은 베이징 경제 구조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며 “외자 유치를 위한 개혁 조치들도 속속 시행되었고, 상반기에는 다국적 기업의 본·외화 통합 자금풀 시범사업이 시작되었다”고 전했다.
시 차원에서 국제상사중재센터(베이징) 등 플랫폼도 가동됐다. 통계에 따르면 1월부터 5월까지 베이징에서는 외자기업이 961개 새로 설립되었고,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했다.
기업환경의 개선을 위해 시 당국은 올 하반기 ‘기업 보호 행동’을 시작해 기업의 애로사항과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기업 요구에 대한 대응 및 피드백 체계를 개선해 기업 운영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할 예정이다.또한 민영경제 진흥 관련 조례 제정을 위한 입법 논증을 추진하고, 민간기업이 핵심 기술 돌파 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중소기업의 미지급금 정산을 가속화하고, 외자기업 요구를 ‘폐쇄형 루프’ 방식으로 해결하며, 경미한 위법에 대한 면벌 사항을 전 시 차원에서 통일된 리스트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