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가처분소득 1위 성은 상하이, 베이징 2위, 3위는 저장성

 

‘상하이 4만6,805위안, 베이징 4만5,144위안’

중국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상하이와 베이징이 1, 2위를 기록했다. 경제 수도와 정치 수도가 나란히 중국 고소득 성 순위 1, 2위를 차지한 것이다.

3위는 3만8000위안에 육박한 저장성이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하이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4만6,805위안(약 905만 원)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베이징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5,144위안(약 873만 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두 도시의 주민소득은 임금소득이 견인했다.

올 상반기 동안 베이징 주민의 1인당 임금소득은 29,447위안(약 569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주민 가처분소득 증가를 3.4%포인트 견인해 기여율은 71.3%였다.

 

중국 1인 당 가처분소득 3위는 저장성이었다. 저장성은 상반기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이 37,813위안(약 731만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장쑤성은 같은 기간 가처분소득이 3만 위안(약 580만 원)을 돌파하여 30,706위안(약 594만 원)을 기록했다.

톈진, 광둥, 푸젠, 산둥, 충칭, 랴오닝이 각각 5위에서 10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 네이멍구 역시 상반기에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 위안(약 387만 원)을 넘겼다.

 

중서부 지역에서는 충칭, 네이멍구, 안후이, 후베이, 후난 등이 상반기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상위를 차지했으며, 이들 성은 중서부 지역 중에서도 산업화와 도시화 수준이 비교적 높은 지역이다.

 

최근 몇 년간 중서부 지역의 산업화와 도시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과학기술 혁신이 발전의 기본 동력이 되면서, 중서부의 핵심 도시들에 현대 산업 클러스터가 빠르게 집결하고 있다. 산업 발전은 종사자 수 증가로 이어졌고, 이는 다시 소득 수준의 빠른 성장을 견인했다.

 

우한, 청두, 충칭, 시안, 허페이 등 주요 도시는 최근 몇 년간 신흥 산업과 고급 제조업이 빠르게 발전했으며, 이는 현지 대학 졸업생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인재와 인구도 대거 유입시켰다.

예컨대 우한은 지난 2024년 말 기준 시내 하이테크 기업 수는 1만 6,500개를 넘었으며, 연간 하이테크 산업의 부가가치는 6,414억 4,200만 위안(약 124조 1,510억  원)으로 GDP의 30.4%를 차지했다. 2023년 11월 7일, 우한의 항디기술 주식회사가 선전증권거래소 창업판에 상장되었으며, 광구(光谷)의 제68번째 상장기업이 되었다.

 

최근 허페이는 신에너지차 산업이 고속 성장했다. 지난해 허페이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135만 대를 돌파했다. 현재 허페이는 장화이, 비야디, 웨이라이, 폭스바겐안후이, 허페이창안, 안카이버스 등 6개의 완성차 제조사를 보유하고 있다. 부품 공급 측면에서 허페이에는 자동차 핵심 부품 기업이 500여 곳 있으며, 이들은 시 전체의 주요 산업단지에 분포하고 있고, 궈쉰가오커, 중촨신항, 쥐이커지 등 주요 신에너지차 부품 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