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당국은 기술분야 외자 유치를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증췐르바오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의 국제무역경제협력연구원 부연구원인 쑹쓰위안은 “각 부처는 외자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으며, 《2025년 외자 안정화 행동계획》 등 정책 문건들이 연이어 발표되었다”고 밝혔다.
실제 올해 들어 최근 국가발전개혁위원회를 포함한 7개 부처는 공동으로 《외국인 투자 기업의 국내 재투자를 장려하는 몇 가지 조치에 대한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하여, 더 큰 폭의 외자 유치와 활용, 외국인 투자 기업의 국내 재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쑹쓰위안은 “외자 출자 지역이 더욱 다변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 및 지역과의 경제 협력이 끊임없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은 중국이 외자 유치 분야에서 국제 협력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외경제무역대학교 국가대외개방연구원 교수 천젠웨이는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보다 적극적인 외자 유치를 위해서 “외자 유치의 중점을 ‘신질 생산력’ 전략 방향과 정밀하게 일치시키고 인공지능, 바이오 제조, 상업 우주항공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산업 생태와 제도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데이터 국경 간 이동, 지식재산권 보호 등 분야에서 국제 고표준의 경제무역 규범과의 정합을 높이는 개혁을 심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천젠웨이는, 이번 《통지》 발표는 중국의 외자 안정화 전략이 “끌어들이는 것”에서 “머무르게 하고, 잘 성장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핵심 조치로, 기존 자본의 재투자 효과를 효과적으로 활성화할 것이라 평가했다. 이는 기존 투자자들의 신뢰를 강하게 북돋는 동시에, 중국이 개방형 경제를 구축하고 개방을 통한 성장 혜택을 전 세계와 공유하려는 장기적인 신호를 국제 사회에 분명하게 보낸 것이라 설명했다.
하반기를 전망하면서 쑹쓰위안은, 중국의 실제 외자 사용액이 안정세를 보이며 점차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특히 고기술 산업과 서비스업 등 분야는 여전히 외국 자본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외자 사용의 구조도 더욱 최적화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