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임금 격차 갈수록 벌어져

 

중국에서 정보기술, 금융, 과학연구 등이 고임금 산업군으로 꼽혔다. 반면 저임금 산업은 농림목어업, 숙박 및 음식업 등에 집중돼 있었다.

즉 지적 산업과 노동 집약 산업 간의 임금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지난 2024년 연평균임금 통계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도시 비민간 단위와 민간 단위에서 연평균 임금 수준 상위 3개 산업은 여전히 정보전달,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금융업, 과학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이었다.

반면 임금이 낮은 산업은 농림목어업, 숙박 및 음식업, 수리·환경·공공시설 관리업, 주민 서비스·수리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동부 지역 도시 비민간 단위의 평균 임금이 가장 높아 143,712위안(약 2,758만 원)에 달했고, 서부 지역이 그 뒤를 이어 110,376위안(약 2,118만 원), 동북 지역과 중부 지역은 각각 98,889위안(약 1,898만 원), 98,090위안(약 1,883만 원)이었다.

명목 증가율 측면에서 동부 지역이 3.2%로 가장 높았으며, 동북·서부·중부 지역은 각각 2.7%, 2.2%, 1.5%였다.

위치 변화 측면에서 보면, 19개 산업 중 비민간 단위는 12개 산업, 민간 단위는 10개 산업의 평균 임금 순위가 전년과 같았다.

비민간 단위 중 문화·체육·오락업은 3계단 하락했고, 교통운수·창고·우편업은 2계단 상승했다. 민간 단위 중 전력·열·가스 및 수도 생산 및 공급업은 2계단 하락했고, 도소매업은 2계단 상승했다.

도시 비민간 단위를 보면, 19개 산업 중 평균 임금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정보전달,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으로 238,966위안(약 4,587만 원)이었으며, 금융업이 201,883위안(약 3,875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과학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은 175,425위안(약 3,367만 원)이었다.

도시 민간 단위를 보면, 평균 임금이 가장 높은 산업은 금융업으로 135,339위안(약 2,598만  원), 정보전달·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 123,193위안(약 2,364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두 산업은 2024년 민간 단위에서 월 평균 급여가 1만 위안을 넘은 유이한 산업이었다. 과학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은 평균 82,387위안(약 1,581만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 세 산업에서 비민간 단위의 평균 임금은 민간 단위보다 훨씬 높았다. 최근 2년간 1차 금융시장 등이 침체되었음에도 금융업은 여전히 민간 단위에서 가장 수익성 있는 산업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2016년 이후 정보전달·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의 평균 연봉은 계속해서 타 산업을 크게 웃돌았다. 중국 인민대 중국고용·민생연구원 부원장 저우광쑤는 이것이 현재 디지털 경제의 양호한 발전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경제는 이미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으며, 성장률 또한 다른 산업보다 높다고 평가했다.

노동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산업의 노동생산성과 노동의 한계생산가치가 임금 수준을 결정한다고 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이 산업은 높은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높은 임금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이 산업은 여전히 인재 부족 현상이 심각하다.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인공지능 인재 부족은 500만 명 이상이며, 수요 대비 공급 비율이 1:10으로 심각한 불균형 상태다. 사회과학문헌출판사와 딜로이트 중국이 공동 발간한 『산업 디지털 인재 연구 및 발전 보고서(2023)』에 따르면, 2035년까지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105조 위안(약 2경 156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나, 현재 디지털 종합 인재의 부족은 2,500만~3,000만 명에 달하며, 격차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