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올 1~2월 소비재 소매매출 전년동기 보다 40% 급증

'8조 3,731억 위안'

한화로 약 1,674조 5,362억 원 가량이다. 지난 1~2월 중국의 사회 소비재 소매 총액이다. 전년보다 무려 40% 급증한 수치다.

 

중국은 미국발 글로벌 관세전쟁으로 국제 경기가 갈수록 불투명해지자, 내수 시장 확대를 경제 성장의 주 원동력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펼치고 있다. 

1~2월은 무엇보다 중국의 설인 춘제 연휴가 있어, 중국 당국의 소비 진작책이 적극 펼쳐졌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2월 소비재 소매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2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8조 3,73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성장률보다 0.5%p 높은 수준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 시장이 꾸준히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운영 단위 소재지별로 보면, 도시 소비재 소매액은 7조 2,462억 위안(약 1,449조 1,675억 원)으로 3.8% 증가했다. 농촌 소비재 소매액은 1조 1,269억 위안(약 225조 3,687억 원)으로 4.6% 늘었다.

소비 유형별로는 상품 소매액이 7조 3,939억 위안(약 1,478조 7,060억 원)으로 3.9% 증가했고, 외식업 매출은 9,792억 위안(약 195조 8,302억 원)으로 4.3% 증가했다.

 

소매 업태별로 보면, 1~2월 중 규모 이상 소매업체 중 편의점, 전문점, 슈퍼마켓, 백화점의 소매액이 각각 전년 대비 9.8%, 5.4%, 4.0%, 0.4% 증가했다. 특히 편의점은 즉시성 및 편리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키며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브랜드 전문점의 소매액은 0.8% 감소했으며, 이는 시장 경쟁 심화와 소비 성향 변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2월 전국 온라인 소매액은 2조 2,763억 위안(약 455조 2,3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이 중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액은 1조 8,633억 위안(약 372조 6,413억 원)으로 5.0% 증가하며,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3%에 달했다. 품목별로는 식품과 생활용품 온라인 소매액이 각각 10.8%, 5.4% 증가했으며, 의류 상품은 0.6% 감소했다. 온라인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품목별로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