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영화 나타지마동요해 개봉 8일 5시간만에 58억 매출 달성

 

'57억7600만 위안'

한화로 약 1조 1,470억 원 가량이다. 지난 중국 춘제 기간 최고 인기를 끈 영화 나타지마동요해(이하 나타2)가 개봉이후 8일 5시간만에 거둔 박스오피스 매출이다.

중국의 역대 최고 기록이다. 중국 매체들은 “시장에는 더 많은 ‘나타’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6일 영화 나타지마동요해(이하 나타2)의 총 박스오피스가 57.76억 위안(약 1조 1,470억 원)을 돌파했다.

개방 직후 단 8일 5시간 만에 거둔 실적이다. 중국 역대 최고 흥행기록이다.

중국 매체들은 “이 순간, 영화를 봤든 안 봤든 많은 사람이 감격과 흥분을 느꼈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나타2는 올해 춘절 연휴의 최대 이변이었다. 하루 만에 6.1억 위안(약 1,211억 3,990만 원)이라는 경이로운 박스오피스를 기록하면서 가파른 매출 상승세를 이뤄냈다.

중국 관객들은 영화의 흥행 곡선을 "출발부터 폭주하는" 작품 자체의 뜨거운 전개와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현재 일부 플랫폼에서는 나타2의 최종 흥행이 90억 위안(약 1조 7,873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 영화 시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충분히 상상력을 자극하는 수치다.

그러나 나타2의 개봉 당시 시장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았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영화 시장의 총 박스오피스는 425억 위안(약 8조 4,400억 원)으로 2023년 대비 22.6% 감소했다. 게다가 짧은 형식의 드라마나 숏폼 영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급성장하면서, 많은 사람이 영화 시장이 더욱 위축될 것이며 중국 영화 산업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타2는 혜성처럼 등장해 자신만의 신화를 창조했으며, 춘절 연휴 영화 시장 전체에 불을 붙였다. 국가영화국에 따르면, 2025년 춘절 연휴 동안 총 박스오피스는 95.10억 위안(약 1조 8,885억 원), 총 관객 수는 1.87억 명을 기록하며 또 한 번 신기록을 세웠다. 개별 작품과 전체 시장 모두 성공적인 출발을 보이며, 올해 중국 영화 산업에 큰 활력을 불어넣었다.

나타2의 성공 요인은 신비롭거나 복잡하지 않다. 영화가 관객이 기대하는 "좋은 영화"의 기본 요건을 충족했기 때문이다. 완성도 높은 영상미, 짙은 중국 문화적 요소, 5년에 걸친 세심한 제작, 현대적 가치관에 부합하는 서사 구조 등이 작품의 강점이었다. 또한, 자극적인 논란 마케팅보다 입소문을 중심으로 한 홍보 전략이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며, 영화의 "진짜 실력"을 더욱 부각시켰다.

이처럼 나타2의 대성공은 다시금 중요한 사실을 증명했다. 관객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시장이 영화를 버린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진정성을 담아 정성껏 만든 영화는 여전히 관객의 사랑을 받을 것이며, 시장에서도 인정받아 결국 큰 상업적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