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 GDP(국내총생산)에서 부동산 산업 비중 6% 정도에 그쳐

 

지난해 중국 GDP(국내총생산)에서 부동산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6%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0.5% 줄어든 수치다.

하지만 여전히 그 비중이 커 우려된다. 중국은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족쇄다.

문제는 중국 가정의 자산 대부분을 부동산이 차지하고 있는 점이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붕괴는 중국 가정의 자산 붕괴를 의미한다.

자연스럽게 가정 경제를 망쳐 소비를 줄이고, 국가 경제 전방으로 빠르게 그 부실을 확산시킬 우려가 크다.

27일 중국신문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2024년 국민경제 운영 상황에 관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캉이 국가통계국 국장은 이 자리에서 경제가 지속적으로 호전될 동력을 갖추고 있으며, 새로운 성장 동력과 신흥 강점이 끊임없이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은 성장 동력 전환의 중요한 시기에 있으며, 부동산과 같은 일부 전통적인 성장 동력은 약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산업의 국민경제 내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반면, 디지털 경제를 대표로 하는 신흥 성장 동력은 빠르게 성장하며,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새로운 공간을 확장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2024년, 중국 부동산 산업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3%로, 2023년에 비해 0.5%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디지털 경제를 살펴보면, 2024년 디지털 경제의 비중은 아직 산출되지 않았지만, 2023년 디지털 경제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1.8%로 2022년에 비해 1.3%포인트 상승했다. 이 중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부가가치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9%로 2022년에 비해 0.5%포인트 상승했다.

2024년 디지털 경제의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경제는 이미 중국 경제 발전의 새로운 엔진이자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