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5월 중국 소비액 전년 동월 대비 10% 이상 증가, 자동차 시장 훈풍 불어

 

중국의 5월 승용차 판매가 두 자릿수로 늘었다. 한 달 판매 대수가 170만 대를 넘어섰다. 

'이구환신' 보조금 및 지원금 정책이 톡톡히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정책의 조력 덕에 중국내 자동차 시장의 열기가 거세다. 

중국은 이미 글로벌 최대 자동차 시장을 가지고 있다. 아쉬운 것은 한국이 중국의 그 시장에서 갈수록 소외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1일 중국 승용차시장연석회의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5월 중국의 승용차 판매 규모는 171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4% 증가했다. 특히 중국 자체 브랜드와 럭셔리 고가 브랜드의 판매액이 모두 증가했다.

지난 4월말 상무부, 재정부 등 중국 중앙정부의 7개 부서는 자동차 이구환신 보조금 실시 세칙을 발표해 자동차 소비의 문을 활짝 열였다. 그리고 5월이 되자 자동차 시장에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올해 초 중국내 자동차 시장은 가격 전쟁에 돌입했다. 지난 5개월동안 자동차 가격은 작년 한 해의 90% 이상 가격을 다운시켰으며 2022년의 전체 가격 하락 규모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중국 승용차시장연석회의는 중국내 자동차 시장 가격전이 올해 2월 춘절 이후 4월말까지 이어지면서 소비자가 신형 차량의 가격에 더욱 기대를 품게 되었다고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승용차 시장의 판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9.4% 하락했다. 또 지난 5개월 동안 중국 승용차 시장에서는 807만 3000대가 팔렸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수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