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대판 제2의 N번방 사건 피해 여성 61명에 달해, 中네티즌 “비난을 안 할 수 없군!”

 

서울대에서 제2의 N번방 사건이 터졌다. 현재 기준 피해 여성은 6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서울대 재학생 및 졸업생은 12명이다. 

최근 과거 N번방의 사건을 재조명한 영국 BBC프로그램이 방영돼 글로벌 사회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만큼 글로벌 사회의 관심을 끈 것이 한국의 인터넷 성착취 범죄다.

그와 유사한 사건이 서울대에서 벌어졌다고 하니, 자연히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중국 네티즌들은 호기심반, 우려반의 시선으로 한국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나섰다. 일단 범죄행위가 중국에 수입되는 것을 크게 우려하는 모습이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1일 이번 사건의 혐의자 5명을 체포하였으며 그 가운데 주범으로 지목된 2명은 서울대 졸업생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지난 2021년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메신저 어플인 텔레그램에서 딥페이크 기술로 얼굴을 합성하여 음란 사진, 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미 지난 11일 주범으로 지목된 서울대 졸업생 박모씨(40)를 체포하였는데, 박씨는 1852장에 달하는 얼굴을 합성한 음란한 사진과 동영상을 제작하여 온라인 사이트 곳곳에 뿌린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는 서울대 여학생과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 48명이다.

주범 박씨는 서울대에서 10여년 동안 재학하면서 피해자들과 알게 되었고 이들의 SNS 프로필 사진을 합성해 음란 사진과 영상으로 만들었다. 

또 박씨가 유포한 대부분의 영상은 강모씨(31)가 만든 것으로 밝혀졌다. 입건 당시 강씨는 여전히 서울대 법대에 재학중이었으며 현재는 졸업하였고 지난 16일 입건됐다. 강씨는 여학생의 졸업사진과 SNS에 업로드된 사진을 합성하여 얼굴만 바꾼 영상으로 박모씨에게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강씨는 합성 사진과 피해자의 신상정보를 확보하였고 박모씨는 이러한 사항을 라이브에 공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경찰은 사진 및 영상 제작, 유포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혐의를 받고 있는 3명을 추가로 체포했다. 피의자 5명은 여성의 불법 합성 사진, 영상을 대가로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간 합성물을 텔레그램 등을 통해 200여개 업로드했고 개인 비밀 라이브에 참여한 인원만 해도 50명에 달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