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2월 베이징 첨단기술 제조업 투자 33.9% 증가

 

2024년 중국 경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서방 사회는 올 중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반면, 중국 내부는 '안정적 성장'에 대단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치의 수도 베이징 시정부가 내놓은 경제 전망만 봐도 그렇다.

중국 베이징시 통계국이 올해 1~2월 베이징시 경제 동향 통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첫 두 달 동안 베이징 경제는 안정을 추구하는 가운데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내수를 확대하고 산업구조를 개편하였다. 생산 수요가 향상되었으며 안정적인 시장가격을 형성해 전체 도시 경제가 선순환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전력 산업이 주도적 역할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전자, 전력 산업이 베이징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베이징의 규모이상 공업 부가가치를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중점산업을 살펴보면 컴퓨터, 통신, 기타 전자 디바이스 제조업이 26.8% 성장하였고 전력,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업이 11.2% 증가하였다.

자동차 제조업은 2.2% 성장했으며 5대 설비 제조업은 0.9% 증가했다. 신에너지차, 스마트폰, 풍력 발전 모듈,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이 각각 130%, 72.0%, 66.9%, 62.7% 증가하였다. 

 

인프라 투자 34% 증가

 

투자는 어떨까? 1~2월 베이징의 고정 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5%p 상승하였다.

분야를 나누어서 살펴보면 인프라 투자는 34.0% 증가하였고 제조업 투자는 30.3%, 부동산 개발 투자는 2.4% 증가하였다.  

주택건축 면적은 1억 38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고, 그 중 주택 건축 면적은 4930.8만㎡로 12.1% 감소했다. 저렴한 주택 판매 집중에 힘입어 시의 상업용 주택 판매 면적은 115.2만㎡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으며, 그 중 주거용 주택 판매 면적은 82만 9000㎡로 14.6% 증가했다.

 

소비자물가 0.3% 증가

 

1~2월 베이징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식품 물가는 5.0% 하락, 비식품 물가는 1.2% 상승, 소비재 물가는 1.4% 하락,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1~2월 베이징시 소비재 소매 총액은 2374억 위안(약 4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였다. 규모이상 도매와 소매, 숙박, 요식업 기업의 온라인 판매액은 786억 3000만 위안(약 14조 5905억원)으로 2.9% 증가했다. 요식업 매출은 215억 1000만 위안으로 3.6% 증가하였고, 상품 소매 매출은 2159억 1000만 위안(약 40조 원)으로 2.5%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