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프리미엄 전기차 샤오펑 모터스, 10만~15만 위안 가격대 브랜드 출시

 

'1850만~2780만 원'

전기차의 새로운 가격대다. 중국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샤오펑 모터스(Xpeng Motors)가 저가형 브랜드를 출시한다. 

중국이 가성비를 무기로 한 전기차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이다.

사실 전기차는 하나의 거대한 전자제품이다. 강력한 연소 폭발을 견뎌내며, 그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꿔 바퀴를 굴리는 정밀한 조립 기계인 내연 엔진과 달리, 엔진부터 모든 것을 자동 조립할 수 있어 가성비를 극도로 끌어 올릴 수 있다. 

마치 스마트폰 하나를 개발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개발된 스마트폰을 새로 생산하는 단가는 극도로 낮아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난 16일 개최된 '중국 전기차 100인회 포럼(中国电动汽车百人会论坛, China EV100 Forum) 2024에서 허샤오펑(何小鹏) 샤오펑 모터스 CEO는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해 10만~15만 위안(1850만~2780만 원) 가격대의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 회장은 "새 브랜드는 젊은이들을 위한 최초의 AI(인공지능) 드라이빙 전기차로 다양한 수준의 지능형 주행 기능을 갖추었다"고 설명했다.

또 "신에너지 자동차의 향후 10년은 AI가 주도하는 10년이 될 것이며 새로운 고품질 생산성으로 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샤오펑 모터스는 올해 지능형 운전을 핵심으로 하는 AI 기술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지능형 연구개발(R&D)에 매년 35억 위안을 투자해 4000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샤오펑 모터스의 AI 지능형 주행 모델은 올해 2분기 공식적으로 전기차에 장착돼 양산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