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금지, 中네티즌 반응은?

 

중국 동부지역 허브공항이자 상하이의 관문인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전면 금지된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는 모바일 앱을 통해 택시 등 차량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승객 입장에서는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공항 택시 승차장에서 줄을 설 필요도 없고, 차량 운행자 입장에서는 손님을 태우기 위해 장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원하는 시간대와 장소로의 운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지난달 29일 상하이시 도로운수관리국은 '푸둥공항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운영에 대한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했다.

통지에 따르면 푸둥공항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특히 춘제(春節, 설) 연휴 기간 푸둥공항에서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가 엄격히 금지된다.  

이번 통지 발표 이후 온라인 차량호출 플랫폼 업체인 디디추싱(滴滴出行), 가오더띠투(高德地圖), 메이투완(美團) 등은 더 이상 푸둥공항에서는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 통지와 관련 없는 상하이 훙차오(虹橋)공항, 훙차오역, 상하이역에서는 예약이 가능하다.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기사들은 이번 통지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온라인 차량호출이 금지된 틈을 불법 택시가 푸둥공항에서 더 활개칠 수 있다는 것이다.

천위에펑(陳越峰) 화동정법대(華東政法大) 법학부 교수는 상하이방송국 프로그램 신원터우스(新聞透視)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조치는 온라인 차량호출 서비스 기사의 운행권을 침해할 뿐 아니라 플랫폼 업체들의 공정경쟁 원칙도 훼손시켰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찬성측 의견이 많지만 실제 수요를 반영하지 못한 조치라는 반대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일괄적인 금지보다는 관리를 강화해 푸둥공항 승객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차량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