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외교부 중국 입국 시 비자 발급비 25% 인하

 

중국 외교부가 중국 입국 시 부과하는 비자 발급 수수료를 25% 인하한다고 밝혔다.

중국이 외국인들의 자국 방문을 위해 문턱을 낮춘 것이다.

더 많은 중국인들도 한국 방문을 하도록 한국도 상응하는 조치가 있을지 기대된다. 중국 관광객들이 발길을 끊으면서 한국 소비산업에 미친 타격도 적지 않다.

한 때 호황을 누렸던 면세점 사업은 사드로 인한 중국 방문객 중단 타격에 이어 코로나19 타격까지 맞으면서 거의 가사상태에 빠진 게 현실이다.

8일 중국 외교부 위챗 공식 계정에 따르면 오는 11일부터 내년 12월 31일까지 한국, 일본, 멕시코 등 12개국을 대상으로 비자 발급 수수료가 인하된다.

한국의 경우 단수비자 발급비는 3만 5000원에서 2만 6000원으로, 1년 복수비자 발급비는 10만 원에서 7만 5000원으로 각각 낮아진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1월 8일부터 코로나19에 대해 '을류을관(乙类乙管, B급 전염병에 대해 B급 수준의 관리)'을 시행한 뒤 중국 정부는 외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및 입국 정책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해 중국과 외국 인력의 왕래를 촉진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 당국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올해 하반기 다양한 조치를 내놓고 있다.

앞서 지난달 17일부터 홍콩 및 마카오에서 광둥성으로 입국하는 단체 외국인을 대상으로 144시간 비자 면제 정책을 시행 중이며, 지난 1일부터는 말레이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 6개국에 대해 1년간 비자를 면제했다. 또 내년 초부터 싱가포르와 30일간 상호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문화여유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여행사를 통한 인바운드 외국인 관광객 수는 47만 7800명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856만 1600명의 5.5%에 그쳤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