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월 중국 수출액 2919억 3000만 달러,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

 

'3조 7000억 위안'

한화로 약 676조 원 가량이다. 중국의 11월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 동월 대비 1%를 조금 넘는 수준의 성장에 그쳤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확실히 중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7% 증가한 반면, 수입은 0.6% 느는 데 그쳐 무역흑자 규모는 커졌다. 5.5% 늘었다.

무역 흑자 규모만 보면 중국 경제 목표치에 부합하지만, 침체형 흑자여서 우려된다. 

7일 중국 해관총서(세관)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3.7조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2.1조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 증가했으며 수입은 1.6조 위안으로 0.6% 증가했다. 무역 흑자는 4908.2억 위안으로 5.5% 증가했다. 

달러 기준으로 보면 11월 수출은 2919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5% 늘어 지난 4월 이후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중국의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증가율은 4월 8.5%를 기록한 이후 줄곧 감소세를 유지해왔다.

1~11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37.96조 위안으로 집계됐다. 

그 중 수출은 21.6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성장했으며 수입은 16.36조 위안으로 0.5% 하락했다. 무역 흑자는 2.8% 증가한 55.24조 위안이었다. 

달러 기준으로 살펴보면 1~11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5.41조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6% 하락했다. 

그 중 수출은 30.8조 달러로 5.2% 하락했으며 수입은 2.33조 달러로 6% 하락했다. 무역 흑자는 2.7% 감소한 7481.3억 달러였다.

1월부터 11월까지의 교역 상대국 누적 통계를 살펴보면 아세안은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였다.

중국과 아세안 간 무역 총액은 5조 8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해 중국 대외 무역 총액의 15.3%를 차지했다.

아세안으로의 수출은 3조 3300억 위안으로 0.1% 감소했고, 수입은 2조 4700억 위안으로 0.4% 증가했다. 무역흑자는 8500억6000만 위안으로 1.7% 감소했다. 

유럽연합(EU)는 중국의 두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였다. 총 무역액은 5조 3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으며 중국 대외 무역 총액의 13.2%를 차지했다. 

EU로의 수출은 3조 2200억 위안으로 5.8% 감소했고, 수입은 1조 8100억 위안으로 5% 증가했다. 무역흑자는 1조 4100억 위안으로 16.7% 감소했다.

미국은 중국의 3대 무역 상대국으로 양국 간 무역 총액은 4조 2600억 위안,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해 중국 대외 무역 총액의 11.2%를 차지했다.

대미 수출은 3조 2100억 위안으로 8.5% 감소했고, 대미 수입은 1조 500억 위안으로 1.6% 감소했다. 대미 무역흑자는 2조 1600억 위안으로 11.6% 감소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